신림역 ‘페티쉬방’ 뭐하는 곳인가 덮쳐보니…

신림역 ‘페티쉬방’ 뭐하는 곳인가 덮쳐보니…

입력 2012-04-03 00:00
수정 2012-04-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관, 성매매 단속… “온·오프 안 가린다”

서울시는 서울 지역 경찰서, 청소년 민간단체 등과 함께 민관 합동으로 올 2월 27일부터 지난달 23일까지 지하철 2호선 신림역 주변 성매매 유해 업소를 단속해 11곳을 적발하고 성매매 사범 17명을 붙잡았다고 2일 밝혔다.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를 받고 붙잡힌 성매매 사범은 업주 13명과 성매수 남성 4명이다. 적발된 11개 업소는 키스방과 이미지 클럽, 페티시방(특정 물건을 통해 성적 쾌감을 얻는 방), 오피스텔 성매매·스포츠 마사지업소 등이다.
불법 마사지 업소 현장 서울시 제공
불법 마사지 업소 현장
서울시 제공


이들 업소는 스포츠 마사지 간판을 내걸고 건전 마사지 업소로 위장하거나 채찍·수갑·여성속옷 등 성적 취향을 즐기는 ‘이미지 클럽’이라고 홍보했지만 단속을 벌이고 보니 불법 성매매 알선 장소로 드러났다. 일부 업소는 인터넷 사전예약 시스템을 통해서만 손님을 받고 방마다 탈출구를 마련하는 등 단속을 피하기 위해 교묘한 수법으로 대비를 하기도 했다.

시는 오프라인 단속과 함께 255명의 시민 감시단을 통해 온라인 성매매 단속도 병행, 성매매 사이트 269건을 폐쇄 조치했다. 시민 감시단은 주부, 대학생 등으로 구성된 ‘e-여성행복 지킴이’로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성매매 광고 및 알선 사이트 3162건을 실시간으로 감시해 왔다.

이 감시단은 오프라인 모임도 갖고 성매매 사이트 업주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해 총 10건을 서울지방경찰청에 제출했다. 성매매 피해여성 보호시설 입소자 등을 통해 가출 청소년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얻고 접근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성매매 알선 및 정보통신망 이용에 관한 위반 3명, 검찰송치 1명의 조치가 이뤄졌고, 5건에 대해서는 수사 중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합동 단속을 바탕으로 경찰·시민단체와 연계해 온·오프라인을 통한 성매매 실시간 단속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며 “성매매 피해 여성의 공부·취업 등 자립도 지원해 성매매에 다시 빠져드는 부작용을 방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은 9일 동대문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폭염 대응책을 긴급 점검했다. 방문에는 이 지역 시의원인 심미경 의원도 함께했다. 앞서 8일 서울은 117년 만에 7월 상순 역대 최고기온(37.8도)을 기록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유·초·중·고등학교에 ‘폭염경보에 대한 대응 철저 요청’의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하굣길 화상·열사병 피해 예방을 위한 양산쓰기 등 긴급대책을 제안했다. 또, 폭염경보 발령 때 학교장이 등하교 시간 조정,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방문한 이문초등학교는 주변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750여 명이 재학 중이고, 내년 1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 의장은 먼저 학교장으로부터 폭염 대응책과 늘봄학교 등 방과 후 돌봄 현황을 청취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실을 둘러봤다. 학교장은 폭염이 길어지면서 학교 기본운영경비의 30~40%가 전기, 가스, 수도요금으로 나가는 실정이라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이날 최 의장은 여름방학 기간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의 수요를 학교가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