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청) 비서실장 교체설 등 관련 VIP 측근 동향’ 문건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공식 반응이 나온다면 1일 열리는 수석비서관회의가 될 수 있다.
검찰로 넘어간 사건에 대해 수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해 왔지만 이번 일은 ‘문건 유출’이라는 공직 기강의 문제가 포함돼 있어 어떤 방식으로든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다만 시점은 사안이 어느 정도 정리된 뒤가 될 가능성이 크다. 문건이 다루고 있는 여러 의혹을 청와대는 다른 비중으로 대하고 있다. 이른바 ‘십상시’(十常侍)와 이들의 정례적 모임 대목은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청와대 내부 사정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그 열 명이 한꺼번에, 외부에서 모여 회의를 할 여건도 안 되고 그럴 관계들도 아니라는 건 분명히 알 것”이라는 반응들이다. 일각에서는 차라리 잘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예컨대 “정윤회씨나 십상시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관계 증명을 통해 해명하는 기회가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다.
가장 큰 우려는 유출된 ‘문건’ 자체에 있다. “문건을 작성한 박모(48) 경정이 평소 시중의 풍문을 다룬 이른바 ‘찌라시’(증권가 정보지)를 종합해 온 터라 내용은 별게 없다”면서도 생산된 문건의 양이 적지 않아 문건들이 공개될 때의 파장을 걱정하는 분위기다. 박 경정이 생산한 문건은 조응천 전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에게만 보고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어떤 문건이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점도 고민의 깊이를 더하고 있다. 특히 문건이 다루고 있는 ‘권력암투설’은 해명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어서 소모적인 논쟁으로 확산될 여지가 많다. ‘별일’ 아니라면서도 청와대가 긴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앞서 세월호 사고 때의 ‘7시간’ 논쟁도 그 파장이 상상을 뛰어넘었다. ‘상황 관리’가 중요하다는 게 청와대의 인식인 만큼 이후 공개할 만한 상황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해명을 내놓을 것으로도 전망된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검찰로 넘어간 사건에 대해 수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해 왔지만 이번 일은 ‘문건 유출’이라는 공직 기강의 문제가 포함돼 있어 어떤 방식으로든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다만 시점은 사안이 어느 정도 정리된 뒤가 될 가능성이 크다. 문건이 다루고 있는 여러 의혹을 청와대는 다른 비중으로 대하고 있다. 이른바 ‘십상시’(十常侍)와 이들의 정례적 모임 대목은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청와대 내부 사정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그 열 명이 한꺼번에, 외부에서 모여 회의를 할 여건도 안 되고 그럴 관계들도 아니라는 건 분명히 알 것”이라는 반응들이다. 일각에서는 차라리 잘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예컨대 “정윤회씨나 십상시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관계 증명을 통해 해명하는 기회가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다.
가장 큰 우려는 유출된 ‘문건’ 자체에 있다. “문건을 작성한 박모(48) 경정이 평소 시중의 풍문을 다룬 이른바 ‘찌라시’(증권가 정보지)를 종합해 온 터라 내용은 별게 없다”면서도 생산된 문건의 양이 적지 않아 문건들이 공개될 때의 파장을 걱정하는 분위기다. 박 경정이 생산한 문건은 조응천 전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에게만 보고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어떤 문건이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점도 고민의 깊이를 더하고 있다. 특히 문건이 다루고 있는 ‘권력암투설’은 해명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어서 소모적인 논쟁으로 확산될 여지가 많다. ‘별일’ 아니라면서도 청와대가 긴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앞서 세월호 사고 때의 ‘7시간’ 논쟁도 그 파장이 상상을 뛰어넘었다. ‘상황 관리’가 중요하다는 게 청와대의 인식인 만큼 이후 공개할 만한 상황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해명을 내놓을 것으로도 전망된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12-0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