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을 잡고 걷는 커플의 모습. 본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픽사베이
사회적으로 가장 수용도가 높은 성관계 파트너 수가 남성은 최대 5명, 여성은 최대 3명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 경험이 너무 많거나 적기보다는 ‘중간 정도’가 사회적으로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진다는 점이 밝혀졌다.
9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국제 학술지 사회심리학 및 성격과학에 최근 게재된 연구 결과 남성의 이상적인 성관계 파트너 수는 평생 4~5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2~3명은 가벼운 만남을 통한 관계였다. 또한 남성들의 첫 성 경험은 대개 18~20세 사이에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의 경우 이상적인 파트너 수는 이보다 적은 2~3명이었으며, 이 중 가벼운 만남은 1~2명 정도였다. 여성들의 첫 성 경험 나이는 16~18세로, 남성보다 조금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위해 독일인 340명 이상을 대상으로 25세 청년들의 성생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조사했다. 참가자들에게 파트너 수와 성관계 빈도는 물론, 자위 습관까지 포함한 다양한 성적 행동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연구진은 설문 결과에서 나타난 ‘이상적’ 성관계 파트너 수의 기준이 사회적 평가와 밀접히 연관돼 있다고 분석했다.
파트너 수가 적은 경우에는 별다른 비난을 받지 않지만, 파트너 수가 늘어날수록 주변의 시선이 곱지 않고 부정적 낙인이 심해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사회적 평가 기준이 성별과 관계없이 남녀 모두에게 같이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진은 “남녀 성에 대한 사회적 평가에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모두 존재한다”며 “일반적인 가정과 달리 양쪽 성별 모두 성적 활동이 극단적으로 적거나 지나치게 많은 것보다는 중간 수준이 가장 가치 있게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또한 성별에 따른 ‘이중 잣대’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남성의 경우 성적 경험이 부족하면 오히려 비난을 받고 ‘성적 능력’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느끼지만, 여성은 파트너 수가 많을 때 더 많은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는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