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의 동심 놀이터 ‘2016 서울키덜트페어’ 뜨거웠던 열기

어른들의 동심 놀이터 ‘2016 서울키덜트페어’ 뜨거웠던 열기

입력 2016-08-18 11:46
수정 2016-08-18 1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키덜트페어’에서는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손으로 작품을 뽑는 체험형 프로그램의 금손 콘테스트가 진행되어 눈길을 끌었다. 가족사랑전람 제공.
‘서울키덜트페어’에서는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손으로 작품을 뽑는 체험형 프로그램의 금손 콘테스트가 진행되어 눈길을 끌었다. 가족사랑전람 제공.
유년시절 즐기던 장난감이나 만화, 과자, 의복 등에 향수를 느껴, 진지한 것보다는 천진난만하고 재밌는 것들을 즐길 수 있는 키덜트는 어른들의 전문적인 지식과 강력한 구매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하나의 문화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키덜트 문화의 모든 것을 한 자리에 모으며 지난 7월 28일부터 31일까지 열렸던 ‘2016 서울키덜트페어’가 성황리에 행사의 막을 내렸다.

이번 페어에는 다양한 업체의 참가 및 영국 드라마 ‘닥터 후’ 특별 기획전, 피규어 브랜드 특별전 등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4일간 41,000여 명의 관람객들이 다녀가는 성과를 남겼다.

특히 올해 ‘서울키덜트페어’에서는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손으로 작품을 뽑는 체험형 프로그램의 금손 콘테스트가 진행되어 눈길을 끌었다. 금손 콘테스트의 본선에 진출한 총 46작품이 ‘서울키덜트페어’의 금손 콘테스트 현장에 전시되어 국내 금손들의 작품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였다. 온라인 사전투표 및 7,000여 명의 관람객 오프라인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했다.

지난 8월 11일 진행된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은 “국내에는 원형 제작자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행사 및 콘테스트를 찾아보기 힘들다. 앞으로 ‘금손 콘테스트’처럼 국내 금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행사를 주최한 서울키덜트페어 사무국은 18일 “이번 행사는 원형 제작자 인재 발굴을 통해 키덜트 산업의 성장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단순히 보고 즐기는 문화에서 직접 창작하는 능동적인 키덜트 문화로 발전하길 바란다“며 “서울키덜트페어는 키덜트 문화의 시작부터 함께 해 온 만큼, 더 많은 이들이 키덜트 문화를 즐기고 좀 더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 보강을 만들어가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