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권위의 레스토랑 및 미식 평가서인 ‘미슐랭(미쉐린) 가이드’의 한국판 발간을 앞두고 미슐랭의 전문 평가위원들이 한국을 찾은거죠.
2014 미슐랭 가이드 뉴욕편. 출처=미슐랭 가이드 홈페이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4 미슐랭 가이드 뉴욕편. 출처=미슐랭 가이드 홈페이지
23일 미슐랭 코리아에 따르면 미슐랭 가이드 ‘서울편’이 이르면 올해 안에 발간됩니다. 미슐랭 코리아는 지난 10일 서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드디어 ‘서울편’ 발간 계획을 밝혔습니다.
내년쯤에 나올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한국은 전 세계에서 27번째 미슐랭 발간 국가가 됩니다. 아시아에서는 이미 일본, 홍콩·마카오, 싱가포르에 이어 4번째죠.
그래서 우리나라 특급 호텔들은 물론, 유명한 고급 레스토랑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 받고 있는 미슐랭 가이드에 레스토랑의 이름이 실리고 ‘★’을 받기 위해서죠.
지금도 서울의 어느 식당에서 미슐랭 평가위원들이 조선시대 암행어사처럼 신분을 숨기고 몰래 밥을 먹으면서 레스토랑에 점수를 매기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국내 특급 호텔과 고급 레스토랑도 벌벌 떨게 만드는 식신 원정대의 ‘끝판 대장’, 미슐랭 가이드는 도대체 뭘까요.
◇타이어 회사의 여행안내서, ‘미식가들의 바이블’ 되다
미슐랭이란 저희가 잘 아는 프랑스의 타이어 회사 미쉐린입니다.
미슐랭 가이드 초판. 출처=미쉐린 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슐랭 가이드 초판. 출처=미쉐린 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미슐랭은 1900년 타이어를 산 손님에게 무료로 나눠주는 자동차여행 안내 책자 ‘기드 미슐랭’을 만들었습니다. 이게 바로 미슐랭 가이드 입니다.
원래 취지는 프랑스를 여행하는 운전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주는 것이었다고 하네요. 지금처럼 여행지와 식당 정보를 안내하는 내용이 자세하게 담기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주로 타이어 정보, 도로 법규, 자동차 정비 요령, 주유소 위치 등으로 구성됐답니다. 식당 소개도 조금 나왔지만 배고픈 운전자가 끼니를 때울 수 있는 곳을 알려주는 정도였다네요.
타이어 회사 미슐랭이 프랑스 각지의 여행 정보와 맛있는 음식을 소개한 이유가 자동차 여행객을 늘려서 타이어를 빨리 달게 하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야 타이어를 더 많이 팔 수 있으니까요.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미슐랭 가이드는 프랑스 여행객들의 입소문을 타고 인기가 높아졌습니다. 1920년부터는 돈을 받고 팔기 시작했죠. 100년이 지난 지금 미슐랭 가이드는 프랑스는 물론 전 세계 주요 국가의 레스토랑에 ‘★’을 매기면서 세계 최고의 미식 평가서로 자리잡았습니다.
◇미슐랭은 2권…‘빨간책’ 줄까 ‘파란책’ 줄까?
미슐랭 가이드는 한권이 아닙니다. 크게 ‘레드 시리즈’와 ‘그린 시리즈’로 나뉘죠.
레드 시리즈는 간단히 말해 레스토랑 정보를 제공하는 책입니다. 미슐랭의 꽃, ‘★’도 바로 여기서 매깁니다.
매년 발간되는 레드 시리즈는 보통 1300쪽으로 꽤 두껍습니다. 여행 정보와 레스토랑 선택에 대한 몇 가지 조언이 나오지만 책 내용의 대부분은 식당과 호텔 정보죠.
프랑스 국내 식당과 호텔만 소개하다가 1950년대 후반부터 영국, 독일 등 유럽의 다른 나라로 점점 범위를 넓혔습니다. 최근 미슐랭 뉴욕(2005), 미슐랭 도쿄(2007) 등 10여 개국과 세계의 10여 도시를 소개한 미슐랭 가이드도 나왔죠.
그린 가이드. 출처=미쉐린 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그린 가이드. 출처=미쉐린 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그린 시리즈는 음식과 레스토랑 이외의 부분이 나오는 녹색 표지의 책입니다. 보통 150쪽 분량으로 발간되는데 여행 정보가 대부분이죠. 그린 시리즈에서도 ‘★’을 매깁니다. ‘꼭 가봐야 할 곳(★★★)’, ‘추천하는 곳(★★)’, ‘흥미로운 곳(★)’ 등으로 구분해 여행지에 점수를 주죠.
2011년 5월 미슐랭 가이드 한국편 그린 시리즈도 나왔습니다. 450쪽 분량인데 한국의 여행지 중 ‘꼭 가봐야 할 곳’ 23곳, ‘추천하는 곳’ 32곳, ‘흥미로운 곳’ 55곳 등 모두 110곳을 소개했죠. 책 표지는 팔만대장경입니다. ‘꼭 가봐야 할 곳’으로는 서울의 경복궁ㆍ북촌ㆍ창덕궁ㆍ창덕궁 후원ㆍ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 수원화성, 경남 합천 해인사ㆍ안동 하회마을ㆍ병산서원ㆍ도산서원, 경북 경주 불국사ㆍ석굴암, 전북 전주 한옥마을, 제주 성산일출봉 등이 뽑혔습니다.
세계 최고 권위의 미식 평가서이지만 책 자체만 놓고 보면 상당히 작고 아기자기합니다. 여행객들을 위한 책인 만큼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크기죠. 책의 내용과 구성도 간단합니다. 레드 시리즈의 경우 식당 사진과 함께 어떤 음식을 먹을 수 있는지 소개하는 내용이 나오죠. 식당의 주소와 전화번호 등 꼭 필요한 정보만 담겨있습니다.
◇미슐랭의 ‘★’…숨겨진 비밀은?
미슐랭 별 등급표. 출처=미쉐린 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슐랭 별 등급표. 출처=미쉐린 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미슐랭 가이드에서는 레스토랑을 ‘★’, ‘★★’, ‘★★★’ 등으로 등급을 매깁니다. 물론 별이 많을수록 맛과 서비스가 좋은 식당으로 평가한 것이지만 의미가 다 다릅니다.
우선 ★는 ‘요리가 특별히 훌륭한 집’을 뜻합니다. 한 나라를 방문했을 때 주변에 이 음식점이 있다면 식사를 하면 좋은 곳이라는 의미죠.
★★는 ‘요리를 맛보기 위해 멀리 찾아갈만한 집’이라는 의미입니다. 여행지와 다소 멀어도 이 식당의 음식을 맛보기 위해 굳이 찾아갈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죠.
★★★는 좀 더 특별합니다. ‘요리를 맛보기 위해 여행을 떠나도 아깝지 않은 집’이라는 뜻이죠. 다시 말해서 다른 것은 다 필요 없고 이 음식점에 가기 위해 수백만원이 넘는 비행기표, 숙박비 등을 지불하고도 아깝지 않을 정도의 맛있는 음식을 맛볼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를 받은 레스토랑은 50여곳 밖에 없습니다. 과연 이번 미슐랭 서울편에서도 이 음식만 먹기 위해서 서울로 여행을 떠나도 아깝지 않을 정도의 훌륭한 레스토랑이 탄생할 지 관심이 쏠립니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