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과는 남중국해 등 ‘기싸움’… 터키는 난민 문제 등 불거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지금까지 18명의 세계 주요국 정상과 전화통화나 대면 회담을 가졌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는 한마디도 주고받지 않았다. 시 주석과 에르도안이 트럼프와 마찬가지로 힘으로 밀어붙이는 ‘스트롱맨’이라는 점에서 트럼프의 ‘의도된 홀대’에 관심이 쏠린다.트럼프는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취임한 후 한국을 비롯해 호주, 캐나다, 러시아, 일본, 독일, 프랑스, 이스라엘, 인도, 멕시코 등 16개국 지도자와 전화통화를 했다고 온라인매체 쿼츠가 6일 보도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와 압둘라 요르단 국왕 등 2명은 트럼프와 직접 정상회담을 했다. 트럼프는 당선자 신분이던 지난해 11월에는 시 주석 및 에르도안과 전화로 축하 인사를 주고받았지만 취임 후에는 연락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는 1976년 이래 역대 미국 대통령이 춘제(설)를 앞두고 중국인에게 관례처럼 보내던 새해 인사도 하지 않아 남중국해 영유권과 통상 갈등 등을 둘러싸고 중국과 기싸움을 벌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스인훙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싱가포르 연합조보에 “트럼프가 시 주석을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킴으로써 세계 권력 질서에서 자신이 주도권을 쥐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주도하는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이자 전통적 우방 터키도 지난해 7월 불발된 군부 쿠데타 배후로 지목한 재미 이슬람학자 펫훌라흐 귈렌 송환을 위해 트럼프와의 통화를 기다리고 있다. 이브라힘 칼른 터키 대통령실 대변인은 지난 4일 “두 정상이 곧 전화통화를 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트럼프는 6일 빌 잉글리시 뉴질랜드 총리와만 전화통화를 했다.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이 강한 에르도안은 지난해 군부 쿠데타를 진압한 이후 철권통치를 강화해 왔다. 데일리비스트는 “에르도안은 트럼프가 자주 사용하는 ‘극단적 이슬람 테러리스트’라는 말에 거부감을 갖고 있으며 미국의 시리아 난민 입국 금지 조치가 터키 정부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 양국 간 긴장감을 전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7-02-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