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지리산 종주/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지리산 종주/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3-08-01 00:00
수정 2013-08-01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학 2학년 여름방학 때 친구 5명과 지리산 종주팀을 꾸렸다. 하동 친구집에서 하루 묵은 뒤 구례 화엄사에서 노고단 길을 오르는 것으로 지리산 산행은 시작됐다. 쨍쨍 내리쬐는 무더위에 텐트까지 짊어지고 뱀사골을 거쳐 가파른 세석산장까지 가는 길은 그야말로 고행이 따로 없었다.

지리산의 험하고 깊은 산세를 보면서 빨치산이 이곳을 근거지로 삼은 것도 이해가 됐다. 힘들어도 천왕봉의 고지를 향한다는 마음 하나로 전진했다. 하지만 장터목 산장 못 미쳐서 갑자기 폭우를 만났다. 속옷까지 다 젖을 정도로 비바람은 세찼다. 예상치 못한 장마의 심술에 당초 3박 4일의 완주 코스는 이틀 더 연장됐다. 돌변한 자연 앞에 무력해진 우리들로서는 가던 길을 멈추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떠내려온 흙과 넘쳐난 계곡물이 순식간에 등산길을 삼켜버리는 것을 눈앞에서 보고 무서웠던 기억이 새롭다. 최근 일본 등산길에 한국인 4명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자연 앞에 서면 한없이 겸손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3-08-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