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머 살럼 시스코 이사 인터뷰
“부산은 항만과 물류산업이 발달한 스마트시티 환경을 갖고 있습니다. 도시 주변의 산업환경 규모가 커서 항만 서비스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발전시킨다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부산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아머 살럼 시스코 총괄이사가 22일 ‘스마트시티’ 부산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부산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부산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그는 스마트시티의 필요성에 대해 “단순히 기술에 대한 것이 아니라 결국 사람을 위한 것”이라면서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고령화와 빈부 격차가 커질수록 시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더욱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살럼 이사는 스마트시티가 도시 경쟁력의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도시들은 기업과 대학을 유치하기 위해 세제 혜택이나 저렴한 토지 지원 정책을 도입했다”면서 “이제는 디지털 플랫폼을 설치해 기업에 앱과 개방된 데이터 환경을 제공하고 스타트업 회사들이 새로운 사업 창출을 도와주는 스마트시티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살럼 이사는 “기술이 도시의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도시를 자동화와 디지털 인프라로 전환한다면 서비스 전달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스코에 따르면 사물인터넷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은 정부와 기업에 자산 활용과 생산성 측면에서 향후 10년간 19조 달러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살럼 이사는 “도시 인구가 늘어나면 학교에는 더 많은 의자가 필요하듯 병원과 주택, 일자리, 안전 분야에서도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면서 “특히 교통과 상하수도, 전력시스템과 같은 인프라를 기존의 것으로 단순 업그레이드하는 것으로는 부족해 더 지능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11-2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