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좌관 통해 정보 수집 뒤 ‘정보지’ 작성

부처·보좌관 통해 정보 수집 뒤 ‘정보지’ 작성

입력 2014-12-10 00:00
수정 2014-12-10 0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 정보팀 실태

검찰이 정윤회씨 국정개입 문건 유출 의혹 사건과 관련해 한화 계열사에서 정보수집 업무를 맡고 있는 직원에 대해 수사에 나서면서 기업체 ‘대외 협력 업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이 9일 서울 중구 한화 본사내 한화S&C 직원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가운데, 한화 직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검찰이 9일 서울 중구 한화 본사내 한화S&C 직원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가운데, 한화 직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9일 재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외 협력 업무 가운데 하나로 정부부처나 국회 등을 상대로 소속 기업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대관(對官) 업무가 있다. 대관 업무를 맡은 직원들은 소속 기업과 연관된 정부부처의 사람들을 만나 기업과 관계된 다양한 정보를 얻는다. 또 국정감사를 대비해 평소 국회의원 보좌관들과도 친분을 쌓아두기도 한다. 또 국회 등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법이 회사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의견을 전달하는 창구로도 활용된다.

이전에 대관 업무를 했던 대기업 직원 A씨는 “적게는 5명 안팎이 팀을 이뤄 업무를 맡는데 일의 성격상 고위급을 만나야 고급 정보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임원급이 대거 대관 업무를 맡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또 국감 때 의원들로부터 심하게 지적받은 후에 뒤늦게 기자 출신 등 정보 파악에 빠른 인물들을 대거 영입해 대관 업무를 맡기는 기업들도 많다.대관 업무를 맡고 있는 대기업 직원 B씨는 “평소 일주일에 한 번 임원회의 때 최고경영자(CEO)에게 제출할 정보보고를 A4 용지 1장에 정리해 제출한다”면서 “국감 때 CEO가 증인으로 채택된다거나 검찰이 비자금 의혹 관련 내사에 들어갔다는 특A급 정보는 절차 없이 임원을 통해 CEO가 알 수 있도록 해 바로 특별 대응팀을 꾸리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 대관 업무자 이외에도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 등 기관에서 파견 나온 이들끼리 정보를 취합하면서 이들 사이에 정보 주고받기도 이뤄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찌라시’(정보지)는 증권시장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기업의 주가와 관련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기업, 주로 증권사의 대관 업무 담당들이 모여 정보팀이 구성되면 1주일에 한두번 정도 모인다. 정보팀원들은 ‘주고받기’(give and take) 원칙에 따라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방식으로 정보지를 만들어 공유한다. 따라서 자사에 유리한 정보나 경쟁사에 흠집이 되는 정보 등을 중심으로 일부만 맞는 정보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사방으로 퍼지는 과정에서 왜곡과 과장도 더해져 정보지는 ‘아니면 말고’ 식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12-1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