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솥도 한류 바람을 타고 있다. 한국 관광객들이 30년 전 일본 여행 시 ‘코끼리밥솥’을 사오던 풍경이 최근에는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이 밥솥을 하나씩 사가는 모습으로 바뀌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쿠첸 3분기 매출액 308억… 53% 급등
12일 이트레이드증권의 ‘쿠첸 밥솥, 중국인의 밥맛을 사로잡다’ 보고서에 따르면 쿠첸 압력보온밥솥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은 308억원으로 전년 동기(202억원)보다 52.5% 늘었다. 올해 3분기 수출액도 31억원으로 전년 동기(17억원)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밥솥의 면세점 판매도 눈에 띄게 늘어났다. 시장점유율 1위인 쿠쿠전자는 올해 1~7월 면세점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0%나 늘었다. 오두균 이트레이드증권 연구원은 “올해가 한국 밥솥 매출 증가 수혜의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쿠쿠 면세점 판매도 130% 껑충
중국 밥솥 시장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베이징의 시장연구기관인 ‘중이캉’에 따르면 2011년 중국 전기밥솥시장 규모는 101억 위안(1조 7377억원)으로 전년보다 15% 증가했다. 수입산을 중심으로 한 전기밥솥의 고급화 경향도 뚜렷하다. 컴퓨터식 전기밥솥의 점유율은 지난 4월 66.2%로 가장 높았고 일반형 전기밥솥이 26.1%로 뒤를 이었다.
중국 소비자들이 전기밥솥을 단순히 밥 짓는 도구보다는 영양소 유지 및 맛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가전기구로 여긴다는 의미다.
●쿠첸 인수 리홈 주가 1월보다 62%↑
이 같은 영향으로 2009년 쿠첸을 인수한 리홈 주가는 12일 145원(6.59%) 오른 2345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1월 2일 1450원에 비해 61.7% 오른 수치다.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 판매가 호조를 이루면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성원기자 lsw1469@seoul.co.kr
2012-12-1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