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라노 황수미(28)씨가 ‘2014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성악 부문에서 우승했다. 황씨는 31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막을 내린 올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
황수미씨. 사진=금호 아시아나문화재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황수미씨. 사진=금호 아시아나문화재단 제공
상금 2만5000유로(약 3470만원)와 함께 벨기에 등 여러 나라에서 공연하는 특전을 받았다. 2011년 아시아 여성 최초로 소프라노 홍혜란(32)씨가 이 콩쿠르에서 우승한 데 이어 황씨가 1위에 오름에 따라 한국인 소프라노가 두 차례나 최고의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국제 음악계에서 인정하는 중요 콩쿠르다.
황수미씨는 서울대 음대와 동대학원 성악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에서 프리더 랑을 사사했다. 국내 무대에서는 동아음악콩쿠르와 세종음악콩쿠르에서 1위를 했다. 국외에서는 2012년 독일 ARD 국제음악콩쿠르에서 2위 입상, 2013년 독일 아넬리제 로텐베르거 콩쿠르에서 우승, 이름을 알렸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3년마다 돌아가며 여는 피아노·성악·바이올린 경연 외에 별도로 작곡 부문도 1∼2년마다 개최하는 국제 음악계가 인정하는 콩쿠르다. 바이올린 부문에서 1976년 강동석씨가 3위, 1985년 배익환씨가 2위, 2009년 김수연씨가 4위, 2012년 신지아씨가 3위를 했다.
작곡 부문에서 2009년 조은화, 2010년 전민재씨 등이 연속 1위에 올랐다. 벨기에 공영방송 RTBF 음악감독인 티에리 로로는 한국인이 콩쿠르를 휩쓸자 직접 서울에 와서 다큐멘터리 ‘한국 클래식의 수수께끼’를 제작, 한국 학부모의 음악레슨 열기와 한국 음악인의 저력을 분석하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