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랑 자카르타] 폼생폼사 품새 떴다

[스카랑 자카르타] 폼생폼사 품새 떴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8-08-20 22:52
수정 2018-08-20 2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 잼’ 우려 딛고 다이나믹 군무로 인기
韓·태국·인니 등 金 황금 배분도 한몫
주관적 채점 보완해 올림픽 진입 노려야


지난 19일 태권도 품새의 아시안게임 데뷔 무대였던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컨벤션센터. 선수들 동작 하나하나에 탄식과 탄성이 교차하자, ‘관계자’들의 조바심은 안도의 한숨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싹쓸이’가 예상됐던 한국이 금메달 2개만 가져가고 태국, 인도네시아가 금메달을 하나씩 나눠 가지자 장내는 더욱 들썩였다.

경기장을 찾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품새 여자 개인에서 우승한 데피아 로스마니아르(23·인도네시아)에게 직접 금메달을 걸어 주자 장내 분위기는 절정에 달했다.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는 “(금메달 배분이) 황금분할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번 대회에 처음 정식종목으로 편입된 품새를 놓고는 우려가 더욱 컸다. 승부의 향방을 파악하기도 어렵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많았다.

그러나 현장은 달랐다. 관중석의 아감 딜리야 울 학(29·인도네시아)은 “단체전의 자유 품새가 특히 재밌었다. 한국만 너무 압도적이지 않고 다른 나라 선수들도 잘해서 재밌었다”고 말했다. 교민 양경학(37)씨는 “생각보다 박진감이 넘쳤다. 다리 각도나 몸의 흔들림을 통해 누가 이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우려가 여전하다. 자유 품새는 신나는 음악에다가 아크로바틱한 군무가 관중들의 시선을 끌었지만 공인 품새와 새 품새는 역시 재미없다는 평가가 많았다. 채점 항목이 세분화돼 있지 않아서 심판들이 다소 주관적으로 점수를 부여한다는 우려도 나왔다.

태권도 품새가 올림픽 정식 종목 진입을 노린다면 태권도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꿀잼’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자카르타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8-08-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