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 지은 신재환 “서정이 응원, 70% 이상 심적 안정”

미소 지은 신재환 “서정이 응원, 70% 이상 심적 안정”

임효진 기자
입력 2021-08-03 20:28
수정 2021-08-03 2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올림픽] 한국 체조 첫 올림픽 남녀 동반 메달 주인공
[올림픽] 한국 체조 첫 올림픽 남녀 동반 메달 주인공 2020 도쿄올림픽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신재환과 여자 도마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여서정이 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 취재진과의 인터뷰에 앞서 메달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1.8.3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올림픽] 기념 촬영하는 기계체조 대표팀
[올림픽] 기념 촬영하는 기계체조 대표팀 2020 도쿄올림픽 남녀 기계체조 대표팀 선수들이 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8.3 연합뉴스
2020 도쿄올림픽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체조대표팀이 3일 환한 미소와 함께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앞서 전날 남자 기계체조 도마 종목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신재환은 “지금은 (금메달이) 실감이 나는 것 같다”며 “비행기에서 내렸을 때 빨리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뿐이었는데, 이렇게 나와서 사진도 찍고 환영해주시니까 기분이 좋다”고 소감을 전했다.

신재환은 배웅을 나온 아버지를 꼭 껴안았다. 그는 “항상 모자라고 철없고 많이 잘 못 해 드린 아들이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서 더더욱 효도하는 아들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신재환은 전날 열린 도쿄올림픽 남자 기계체조 도마 결선에서 1, 2차 시기 평균 14.783점을 얻어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올림픽위원회)과 동점을 이뤘다. 동점일 경우 1, 2차 시기 중 더 높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승자가 된다는 타이브레이크 규정에 따라 신재환이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신재환의 점수는 2차 시기에서 받은 14.833점이 최고점이었다. 아블랴진의 최고점은 2차 시기의 14.800점이었다.
이미지 확대
신재환이 2일 일본 도쿄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기계체조 남자 도마 결승에서 환상의 연기를 펼치고 있다. 사진은 신재환이 도마를 넘는 장면을 연속 촬영한 모습.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신재환이 2일 일본 도쿄 아리아케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기계체조 남자 도마 결승에서 환상의 연기를 펼치고 있다. 사진은 신재환이 도마를 넘는 장면을 연속 촬영한 모습.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신재환은 “동점이 나왔을 때 러시아 선수가 이겼다고 생각했다. 축하해줘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점수 옆에 숫자가 표시되길래 그 숫자를 봤는데 내가 이겼길래 그냥 좋아라 했다”며 미소를 보였다.

신재환은 우승 직후 “(여)서정이가 ‘오빠 꼭 잘해’라고 하길래 서정이에게 (올림픽 메달의) 기를 좀 달라고 했고, 서정이와 주먹을 부딪치며 기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그는 “아마 그게 결선에서 70% 이상 정도의 심적 안정을 주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기계체조 여자 도마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여서정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대한체조협회 회장사를 맡은 포스코그룹으로부터 2억원의 포상금을 받게 된 신재환은 “일단 집에 빚이 좀 있어서 그걸 좀 청산하고 나머지는 저축하겠다”며 말했다.

그러면서 “일주일의 휴식 기간에 사흘은 많이 먹고, 나흘은 푹 자려고 한다”며 “올해 남은 목표가 하반기 세계선수권대회 입상인데, 잘 쉬고 나서 충분히 기력을 회복한 다음에 훈련에만 매진하겠다”고 다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