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신기록 제조기 이상화 ‘다른 기록 세워볼까’

<올림픽> 신기록 제조기 이상화 ‘다른 기록 세워볼까’

입력 2014-02-05 00:00
수정 2014-02-05 16: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네 차례나 세계기록을 갈아치운 ‘빙속 여제’ 이상화(25·서울시청)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이색 기록’에 도전한다.

이상화의 강렬 눈빛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이상화 등이 3일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 아들레르 아레나에서 훈련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화의 강렬 눈빛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이상화 등이 3일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 아들레르 아레나에서 훈련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치올림픽의 스피드스케이팅 경기가 열리는 아들레르 아레나 스케이팅 센터는 해발 4m의 해안 지대에 지어진데다 빙질도 좋은 편이 아니다.

아무리 네 번이나 기록을 갈아치우며 1년 사이에 여자 500m 세계기록을 36초94에서 36초36까지 끌어내린 이상화라도 다시 신기록을 작성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워낙 독보적인 레이스를 펼쳐 온 만큼 욕심을 낸다면 다른 기록에는 도전해볼 수 있다.

첫 번째가 트랙 신기록이다.

현재 아들레르 아레나의 여자 500m 트랙 기록 보유자는 이상화다.

지난해 3월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 2차 레이스에서 작성한 37초65다.

당시 이 대회 2연패를 달성하며 화려하게 2012-2013시즌을 마무리한 이상화는 2013-2014시즌 월드컵에서 세 차례 연속 세계신기록을 세우는 등 한층 진보한 기량을 자랑했다.

이 기세를 잇는다면 아들레르 아레나의 트랙 기록을 갈아치우는 것도 가능할 전망이다.

다음으로 이상화가 도전해볼 만한 기록으로는 역대 올림픽 최다 격차 우승이다.

원래 한 차례 레이스만으로 승부를 가리던 여자 500m는 1998년 나가노 대회부터 1·2차 레이스를 치러 합산 기록으로 승부를 가려 왔다.

이 가운데 가장 큰 격차가 난 것은 1998년 나가노 대회로, 카트리오나 르메이돈(캐나다)이 1·2차 합계 76초60을 기록해 수잔 아우크(캐나다·76초93)를 0.33초 차이로 제쳤다.

이상화의 현재 페이스라면 이 기록을 넘어서고도 남는다.

지난해 같은 아들레르 아레나에서 열린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이상화는 1·2차 레이스 합계 75초34를 기록, 2위 왕베이싱(중국·76초03)과의 격차를 무려 0.69초로 벌리며 우승했다.

역대 올림픽 최대 격차와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압도적인 레이스였다.

이상화는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76초09를 기록해 역대 가장 작은 격차인 0.05초 차이로 예니 볼프(독일·76초14)를 꺾고 첫 금메달을 목에 건 바 있다.

4년 만에 역대 가장 큰 격차로 2연패에 성공할 기회가 열린 셈이다.

이상화의 기록이라면 500m 단일 레이스에서도 한 번 의미 있는 격차를 벌려볼 만하다.

역대 올림픽 여자 500m 한 번의 레이스에서 가장 큰 격차가 난 것은 1972년 삿포로 대회의 앤 헤니(미국)로, 0.68초 차이로 우승했다.

사실상 현대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이 기록은 넘보기는 어렵지만, 2위인 카린 엔케(동독·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대회)의 0.48초 차이나 3위 리디야 스코블리코바(우크라이나·1964년 인스브루크 대회)의 0.40초 차이 정도는 넘볼 수준이 된다.

올 시즌 월드컵 시리즈에서 일곱 차례 500m 레이스를 펼쳐 한 차례도 놓치지 않고 우승한 이상화는 2위 선수와 평균 0.37초의 격차를 기록했다.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2차 대회에서 36초36의 세계기록을 작성할 때에는 2위 헤서 리처드슨(미국·36초90)과 무려 0.54초나 차이가 났다. 이 때를 포함해 0.40초 이상 격차를 벌린 레이스가 세 차례나 됐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