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러는 이 경기에서 49초44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차지했고 이 종목 최강자인 미국의 앨리슨 필릭스(31,오른쪽)는 49초51로 0.07초 뒤져 은메달을 땄다.
바하마의 밀러 육상 다이빙해서라도
바하마의 사우네 밀러(22, 왼쪽)가 15일(현지시간)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400m 결승에서 넘어지며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밀러는 이 경기에서 49초44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차지했고 이 종목 최강자인 미국의 앨리슨 필릭스(31,오른쪽)는 49초51로 0.07초 뒤져 은메달을 땄다.
밀러는 이 경기에서 49초44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차지했고 이 종목 최강자인 미국의 앨리슨 필릭스(31,오른쪽)는 49초51로 0.07초 뒤져 은메달을 땄다.
밀러는 16일(한국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열린 리우올림픽 여자 400m 결승에서 49초44를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밀러는 이 경기로 자국에 첫 금메달을 안겼다.
사실 여자 400m는 2012년 런던올림픽 3관왕을 차지했던 펠릭스의 우승이 점쳐지는 상황이었다. 펠릭스는 줄곧 선두를 달렸다. 하지만 결승선 앞에서 몸을 날린 밀러의 가슴이 결승선을 먼저 통과해 은메달에 그치게됐다.
경기 후 리우 올림픽 공식 홈페이지는 “육상에서 볼 수 있는 가장 기이한 마무리 중 하나였다. 덕분에 판정이 지연됐지만 ‘밀러의 승리’라는 판결이 나왔다”라는 글이 게재됐다.
밀러의 다이빙 뿐 아니라 남자 허들 110m 예선에서도 주앙 빅토르 지 올리베이라(브라질)도 다이빙 골인을 했다. 그는 “사람들은 다이빙을 하지 말라고 하지만 저절로 몸이 움직인다”고 다이빙 본능(?)에 대해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