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 향후 거취는…

김연아 향후 거취는…

입력 2011-05-02 00:00
수정 2011-05-02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이스쇼 준비 평창유치 전력, 은퇴? 아직 몰라”

‘여왕의 귀환’은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 꾸준히 연습했다지만 13개월간 실전 무대에 서지 못한 것이 결국 독이 됐다. 김연아(21·고려대)가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피겨선수권대회 은메달을 땄다. 한 시즌을 쉰 탓에 흐름을 유지하지 못했고, 복귀전의 부담감까지 더해져 아쉬운 결과를 낳았다. 김연아는 “꼭 공백 때문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그 영향이 전혀 없지 않았다.”고 했다.

2009~10시즌이 끝나고 최고의 화두는 김연아의 진로였다. ‘모든 걸 다 이룬’ 김연아는 선수생활을 유지할 동력을 잃어버렸다. 결국 올 시즌 세계선수권 단 한번만 무대에 오르기로 했고, 약속을 지켰다. 김연아는 “올림픽 이후 고민이 많았다. ‘왜 해야 하나’ 하고 생각했는데, 연습하다 보니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회상했다.

상황은 다시 1년 전과 같다. 김연아의 은퇴 여부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김연아는 “다음 시즌까지 아직 생각하지 못했다. 집으로 돌아가 아이스쇼 준비와 평창 유치활동에 집중하려 한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도 “새 시즌이라고 마음이 편해지지는 않을 것 같다. 심리적 갈등을 피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고민을 내비쳤다.

갈라쇼(1일)를 마치고 바로 한국으로 출발한 김연아의 스케줄은 촘촘하다. 2일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아이스쇼(6~8일)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국내팬들에게 쇼트프로그램 ‘지젤’과 갈라프로그램 ‘피버’를 공개하는 자리다.

그보다 중요한 건 2018평창동계올림픽이다. 평창유치위 홍보대사와 선수위원을 겸한 김연아는 대회 출전 탓에 손 놓았던 유치활동에 박차를 가한다. 김연아는 “이번 대회에서 좋은 결과를 얻은 것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선수로서 평창을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큰일이었다.”고 밝혔다.

당장 18~19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리는 후보도시 브리핑에 힘을 보탠다. 개최도시가 결정되는 ‘운명의 날’인 7월 6일에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남아공 더반)에 참석해 표심을 사로잡는다. 평창의 강력한 경쟁자 뮌헨(독일)이 ‘피겨전설’ 카타리나 비트를 전면에 내세운 만큼 김연아의 활약이 중요하다. 이미 프리스케이팅 ‘오마주 투 코리아’를 통해 한국의 멋을 세계에 알린 만큼 평창 유치에 더욱 탄력을 더할 전망이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05-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