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감염 위험지대’는
“학교가 특히 위험해요. 메르스의 급속한 확산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학생들이 놀고 장난치다 보면 접촉이 빈번하잖아요. 학교만큼은 방역을 철저하게 해서 환자가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해요.”
우선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통상 사람의 입에서 입으로 전파된다. 이 바이러스는 얇은 기름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막 자체는 굉장히 약하기 때문에 메르스 바이러스가 땅에 떨어지거나 하면 감염을 일으키기가 어렵다. 전문가들이 ‘같은 공간, 가까운 거리’를 감염의 조건으로 강조하는 건 이 때문이다. 또 환자의 침이 묻어 있는 손잡이를 다른 사람이 만져 입이나 코에 가져가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간접 접촉이 이뤄지는 곳도 주의 지역이라고 지적한다. 결국 많은 사람들이 한 공간에 밀접하게 부대낄 수 있는 장소는 메르스 전파 위험지역이라는 의미다.
김익중 서울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18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한 깊은 연구가 이뤄지지 않아 특별히 어느 장소가 가장 위험하다고 볼 수는 없다”면서도 “밀접 접촉이 자주 이뤄지는 학교나 출퇴근 시간 전철과 버스, 극장 등은 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메르스는 고온·다습한 환경에 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 당국도 이 부분을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기온이 더 오르고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7월이나 장맛비가 내리는 8월에는 바이러스 감염력이 주춤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내에서는 에어컨이 가동돼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마저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 교수는 “비가 오거나 온도가 높아진다고 해도 현재 메르스 전파는 모두 실내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바깥 날씨가 어떻든 간에 실내에선 에어컨을 가동하기에 온도와 습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보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5-06-1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