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가장 좋은 암 치료제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가장 좋은 암 치료제

입력 2013-08-26 00:00
수정 2013-08-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거의 모든 사람이 가진 공통된 생각 중 하나가 암을 이겨내려면 수술이든 항암제든 인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닐까. 물론 틀린 생각은 아니다. 이런 의학적 조치는 아직까지도 가장 유력한 암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인식을 뒤흔드는 사례도 없지 않다.

얼마 전, 한 지인을 만났다. 수염 탓에 얼른 알아보기 어려웠지만 안색은 좋아보였다. 그가 전한 사연은 이랬다. 그는 4년 전에 간암 진단을 받고 고민 끝에 서울을 떠났다. 처음에는 강원도 처가에 기거하면서 치료와 요양을 겸할 생각이었는데, 생각이 바뀌어 아예 산골에 촌집을 장만해 눌러 앉았다. 그러고는 아침, 저녁으로 산을 오르며 산야초로만 섭생을 했다. 처음에는 마음이 잡히지 않아 종일 곡기 한 톨 먹지 않고 낯선 산을 헤매기도 했는데, 그때 뜯어 먹었던 산야초와 솔잎이 그렇게 심신을 편하게 할 수가 없더라는 것이었다. 그는 “몸속에서 기름때 같은 묵은 찌꺼기가 싹 씻겨 나가는 느낌”이라고 전했다. 그 후, 그는 된장, 고추장과 산야초로만 끼니를 때우며 살았다. 그렇게 2년여가 지나 ‘죽을 날 받으려고’ 병원엘 갔더니 암의 징후가 깨끗하게 사라지고 없더라는 것이었다. “이럴 수가 없는데…”라며 의아해하는 의사를 뒤로하고 병원을 나서는데, 아까 병원을 들어설 때의 세상이 아니더라는 것이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이에 대한 의사들의 해석은 ‘건강한 생활습관’에 있다. 공기 좋은 곳에서 술, 담배를 멀리한 채 세상 일 걱정 없이 깨끗한 것만 먹고, 부지런히 몸을 움직이니 그보다 더 좋은 생활습관이 따로 있겠냐는 것이다. 현대인의 삶이 인간이 본래 향유했던 그것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를 새삼 느끼게 했다. 뒤집어 보면 산골의 환경이 딱히 좋다기보다 지금의 환경과, 이런 환경 속에서 불가피하게 체화해 온 나쁜 생활습관이 병을 불렀다고 보는 게 옳다. 단순히 치료만으로 암을 이겨내기가 쉽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다. 여기에 건강한 생활습관이라는 명약을 더해야 비로소 ‘암을 이기는 방법’이 완성된다.

jeshim@seoul.co.kr



2013-08-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