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수술과 동등
서울성모병원 위암센터 송교영·박조현·유한모 교수팀은 2004년 7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조기 위암으로 진단돼 복강경수술을 받은 환자 182명의 장기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3년 생존율이 97.3%로 기존 개복수술과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복강경을 이용한 위암 수술은 복부에 4~5개의 구멍을 내 수술기구를 넣은 뒤 모니터를 보면서 암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내시경 조기 위암 절제술’과 다른 점은 복강경수술이 개복수술처럼 암이 발생한 위의 일부를 절제하는 방식인 데 비해 내시경시술은 암 조직만 도려낸다는 점이다. 수술비는 개복수술에 비해 복강경수술이 100만원가량 더 든다.
의료계에서는 조기 위암 환자에게 복강경수술을 했을 때의 장기 생존율이 기존 개복수술과 대등할 수 있을까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다. 이런 가운데 송교영 교수팀이 조기 위암으로 복강경수술을 시도한 182명(1기 180명, 2기 2명) 중에서는 2명만 재발했으며 재발로 사망한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9-1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