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홍. 연합뉴스
졸업사진을 찍던 초등학생들이 공원에 핀 영산홍을 먹고 복통을 호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봄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인 영산홍은 진달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독성물질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8일 행정안전부 ‘국민안전관리 일일상황보고’에 따르면 전날 낮 12시 37분 경기 안성시 옥산동의 한 공원에서 졸업앨범을 촬영 중이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1명이 영산홍꽃을 먹고 복통을 호소했다.
이들 중 2명이 복통과 구토 증상을 보여 병원에 이송된 뒤 치료받았으며, 다른 2명도 보호자를 통해 병원에 옮겨졌다.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함께 영산홍을 섭취한 나머지 7명은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영산홍은 진달랫과에 속하는 반상록 관목으로 그라야노톡신이라는 독성물질이 있어 섭취 시 구토, 복통, 호흡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달래. 뉴스1
영산홍은 꽃이 예뻐서 진달래, 철쭉 등과 함께 관상용으로 심는다. 꽃은 4~5월에 가지 끝에 붉은 자색으로 피고 지름 3.5~5.0㎝의 깔때기 모양이다.
진달래와 영산홍은 비슷해 보이지만 꽃이 필 때 잎의 유무로 구별할 수 있다. 진달래는 꽃이 먼저 피고 잎이 나중에 난다. 앙상한 나뭇가지에 꽃만 피어 있다면 진달래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은 각 학교에 섭취 금지 식물에 대한 안내 사항을 전달했으며 추후 관련 내용을 지속해서 공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