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미국 내 한인의 결속과 애국정신 고취에 전력하며 독립운동을 한 김성권(1875~1960) 선생의 유해가 56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온다.
이미지 확대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 묘지에 있는 독립운동가 김성권·강혜원 선생의 묘비. 강 선생의 이름은 김 선생의 성을 따라 김혜원으로 표시돼 있다. 로스앤젤레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 묘지에 있는 독립운동가 김성권·강혜원 선생의 묘비. 강 선생의 이름은 김 선생의 성을 따라 김혜원으로 표시돼 있다. 로스앤젤레스 연합뉴스
흥사단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 묘지에 안장된 김 선생과 부인 강혜원(1885∼1982) 선생의 유해를 16일 고국으로 봉환해 대전 현충원에 안치할 예정이라고 6일 전했다.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1931~1938년 도산 안창호 선생이 설립한 민족운동단체 흥사단의 이사장을 지냈다.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기관지 ‘독립’(1943년)을 창간하는 등 해방 때까지 민족운동에 힘썼다.
강 선생 역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다. 미주 여성 통합독립운동단체인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단장을 맡으며 매월 모은 후원금을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보내 외교·선전·군사활동을 지원했다. 부부는 흥사단과 미주 독립운동단체인 대한인국민회도 적극적으로 후원했고 미국에 사는 한인 동포 자녀를 대상으로 민족교육을 하는 등 조국 독립에 일평생을 바쳤다.
정부는 부부의 공훈을 기리고자 강 선생에게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김 선생에게 200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이번 봉환은 국가보훈처가 미국에 사는 유족의 동의를 받아 추진했다. 16일 오전 11시 부부의 유해가 들어오는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봉영식을 열고 대전 현충원으로 봉송해 영결식을 한다. 유해는 애국지사 5묘역에 안장된다.
1946년 민간에서 시작된 국가유공자 유해 봉환 사업은 1975년부터 정부가 맡았고 지금까지 31차례에 걸쳐 131위가 고국 땅을 밟았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6-11-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