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 최초 주민 최종덕(1925~1987)을 기리는 표석이 세워진다.
문화재청은 17일 최종덕기념사업회가 독도 서도 옛 문어건조장에 표석을 설치하기 위해 신청한 현상변경을 허가했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독도(천연기념물 제336호) 자연환경 훼손을 우려해기념사업회의 표석 설치를 위한 현상변경을 7년여간 불허했다.
최종덕기념사업회는 내년 6월쯤 독도를 방문해 표석을 설치할 계획이다. 표석은 익산석 재질의 기단석 위에 길이 60㎝, 너비 50㎝, 높이 18㎝ 크기의 오석 재질로 세워진다. 표석에는 ‘영원한 독도 주민 최종덕, 1963~1987년 독도 거주’라는 글귀가 새겨진다.
고인은 1963년 첫 입도 이후 24년간 독도 서도에 상주하면서 어로 활동을 했고 1981년 주민등록을 옮겨 법적으로 독도 최초 거주자가 됐다.
고인의 둘째 딸이자 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인 최경숙(53)씨는 “뒤늦게나마 독도 최초 주민의 흔적이 우리 땅 독도에 남게 돼 다행”이라며 “이번 표석 설치가 독도의 실효적 지배와 영유권 강화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문화재청은 17일 최종덕기념사업회가 독도 서도 옛 문어건조장에 표석을 설치하기 위해 신청한 현상변경을 허가했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독도(천연기념물 제336호) 자연환경 훼손을 우려해기념사업회의 표석 설치를 위한 현상변경을 7년여간 불허했다.
최종덕기념사업회는 내년 6월쯤 독도를 방문해 표석을 설치할 계획이다. 표석은 익산석 재질의 기단석 위에 길이 60㎝, 너비 50㎝, 높이 18㎝ 크기의 오석 재질로 세워진다. 표석에는 ‘영원한 독도 주민 최종덕, 1963~1987년 독도 거주’라는 글귀가 새겨진다.
고인은 1963년 첫 입도 이후 24년간 독도 서도에 상주하면서 어로 활동을 했고 1981년 주민등록을 옮겨 법적으로 독도 최초 거주자가 됐다.
고인의 둘째 딸이자 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인 최경숙(53)씨는 “뒤늦게나마 독도 최초 주민의 흔적이 우리 땅 독도에 남게 돼 다행”이라며 “이번 표석 설치가 독도의 실효적 지배와 영유권 강화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12-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