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책반 격상 운영, 3개 대형 병원 협력체계 구축
충북도는 2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과 관련, 도내에서 중동 지역을 다녀온 주민이 없으며 환자와 접촉한 주민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그러나 메르스 차단 방역을 강화하기 위해 도 비상대책반장을 보건복지국장에서 행정부지사로 격상했다.
11개 시·군 역시 보건소장이 아닌 부자치단체장이 대책반을 책임지게 된다.
오진섭 도 보건복지국장은 이날 충북도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중동 지역을 다녀오면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가 즉시 해당 시·도에 전달하는데 지금까지 통보된 충북도민은 없다”고 밝혔다.
또 “보건당국이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주민을 파악하고 있으나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오 국장은 “도내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다면 중앙 방역대책본부의 지시를 받아 가까운 국가 지정 격리병상으로 옮겨 격리 조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확보된 도내의 격리 병상은 34개다. 모두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 음압병상으로 충주의료원 16개, 청주의료원 10개, 충북대병원 4개다.
오는 10일 문을 열 충북대병원 호흡기질환센터도 35개의 격리병상을 갖추고 있다.
오 국장은 “충북대병원을 중심으로 청주·충주의료원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환자 발생시 지정 병원의 인력이 모자랄 경우 의료진을 상호 파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격리 병상이 모자랄 경우 다른 시·도의 국가 지정 병원에 협조를 요청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중동 지역 방문 후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증세가 있다면 즉시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충북대병원에 신속히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