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실종자 가족 분향소 폐쇄… ‘인양 갖고 장난치는 정부 각성하라’
세월호 참사가 빚어진 지 꼭 1년째가 된 16일 전남 진도 팽목항은 여전히 아물지 않은 상처들을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이날 오전 10시 ‘세월호 사고 1주년 추모식’이 열렸지만 유가족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전날 위령제 이후 희생자 가족들이 거의 떠나고 남아 있었던 10여명도 행사 시작 전인 오전 9시 40분쯤 모두 안산으로 철수해 버렸다. 실종자 가족 7명은 오전 9시쯤 “애들이 기다린다”며 낚싯배를 타고 세월호 침몰 현장으로 떠나기도 했다.
지난 1월 14일 설치한 이후 항상 개방된 채 찾는 이들과 아픔을 함께했던 팽목항 분향소는 이날 오전 6시 10분쯤 희생자·실종자 가족들이 문을 굳게 걸어잠그는 바람에 임시 폐쇄됐다. ‘진상규명 원천봉쇄 대통령령을 즉각 폐기하라’, ‘인양 갖고 장난치며 가족을 두 번 죽이는 정부는 즉각 각성하라’는 노란 현수막이 잠긴 분향소를 감쌌다. 세월호 인양, 실종자 수색 등 그동안 아픔을 치유하는 데 필요한 조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항의의 표시였다.
추모식장에 마련된 1500여석 중 800여명만이 자리에 앉은 채 고인들을 추모했지만 시종 어수선하고 썰렁한 분위기가 계속됐다. 추모식장 여기저기서 “실종자 가족이 한명도 없는데 과연 누구를 위한 추모식인지 모르겠다”는 원성이 오갔다. 참석자 모두가 손에 든 노란 풍선을 하늘나라로 날려보내고 망자의 한을 달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씻김굿보존회의 추모공연, 각종 종교단체들의 추모행사가 이어졌지만 모두 겉도는 모습들이었다. 당초 식전 행사로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등 주요 인사 10여명이 팽목항에 마련된 분향소에 헌화하고 유가족을 면담키로 한 계획도 취소됐다.
12시 10분쯤 박근혜 대통령이 추모식장에 모습을 보이자 경호원들과 취재진들이 뒤엉켜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질서 유지를 위한 통제에도 항의하는 시민들의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문이 잠긴 분향소 입구에 놓여져 있던 실종자 9명의 사진을 보고 방파제로 간 박 대통령은 세월호 인양 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20여분 만에 팽목항을 떠났다.
6개월 동안 팽목항에서 자원봉사를 했던 신은혜(60·여·안산시)씨는 “사고 1년이 됐지만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어 실종자 가족들을 보는 게 미안하다”며 “지금도 악몽에 시달리고 있는데 이들의 심정을 헤아리는 정치권의 모습이 보고 싶다”고 허탈해했다.
진도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5-04-1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