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경제활동률은 2000년 이후 최고치
일하는 서울 여성이 급격히 늘고 있지만 출산과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23일 서울시가 발간한 성인지 통계를 보면 경제활동을 하는 서울 여성은 2000년 이후 계속 늘어 올해 237만 7천명, 전체 여성 인구의 53.6%를 기록했다.
이는 아직 남성에 비해선 19.7%포인트 낮은 수준이지만, 2000년 이후 최고치다.
그러나 지난해 서울의 경력단절자 중 67%는 여성으로 나타나 남성(33%)의 배에 달했다.
또 지난해 서울 여성 경제활동인구 중 경력이 단절된 비율은 34.2%로 2008년(36.7%)에 비해선 줄었지만, 남성 경력단절 비율(18.3%)에 비해선 여전히 높았다.
학력별로는 지난해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64.2%, 고졸 미만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33.2%로, 모두 2008년 이후 최고치였다.
반면, 고학력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떨어지는 추세로, 지난해 석사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8.3%를 기록했다.
학력·혼인상태별 고용률을 보면 30∼34세의 전문대를 졸업한 미·기혼 간 고용률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계층이 결혼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이탈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40∼44세의 혼인상태에 따른 고용률 차이는 대졸 이상이 가장 컸으며, 전문대졸과 고졸 이하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대졸 이상 여성의 경우 30∼39세에 노동시장에서 느리게 이탈했으나 40∼44세에 복귀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돼 이들을 위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력단절자의 퇴직 사유로는 개인, 가족 관련 이유(61.4%)가 가장 많았고 시간·보수 등 불만족(9.1%), 육아(7.8%), 가사(3.6%) 순이었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경력단절 여성들의 학력, 혼인상태, 근로여건, 임금 및 직업훈련참여 여부 등을 분석해 관련 일자리 정책의 기초 정보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