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내진 설계 적용률 37%로 전국 최저 수준
전국의 아파트와 주상복합 등 공동주택 중 내진 설계가 적용된 곳은 60%에 불과하고, 특히 서울의 내진 설계 적용률은 37%에 불과해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새누리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내진 설계 적용 대상 공동주택은 전국적으로 모두 30만 7천597동이지만 실제 내진 기능이 있는 건물은 18만 5천334동(60%)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세종시 공동주택의 내진율이 100%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남 96%, 인천 92%, 경북 91%, 부산 88%, 대전 87%, 강원 87% 등 순이었다.
서울은 9만 5천866동이 내진 설계 대상인데 이 중 3만 5천520동만 내진 성능을 확보, 내진율이 37.05%로 최하위 수준이었다.
전국에서 내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34%였고, 경기와 충남도 각각 47%, 51%에 불과했다.
국토교통부는 1988년 6층 이상, 면적 10만㎡ 이상의 건물에 대해 내진 설계를 의무화했고 2009년에는 3층 이상 또는 면적 1천㎡ 이상 건축물로 적용 대상을 확대했다.
전국의 고층건축물 1천552동은 모두 내진 설계 대상으로 서울에 있는 2개 건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성능을 확보해 내진율은 99.8%였다.
고층건축물은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물이다.
1981년 사용 승인을 받은 소공동 롯데호텔 및 백화점과 1970년 승인을 받은 삼일빌딩은 내진 설계 규정이 도입되기 이전에 건축됐다.
이들 건물은 2016년 이후 정밀안전진단을 시행할 때 내진성능을 평가받는다.
이노근 의원은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노후 아파트들이 많은 만큼 서울 등 내진율이 낮은 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안전진단 등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