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 세종마을 폐가, 한옥체험관으로 조성

서울 종로 세종마을 폐가, 한옥체험관으로 조성

입력 2014-01-14 00:00
수정 2014-01-14 15: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종로구(구청장 김영종)는 세종마을(서촌)에 폐가로 방치된 한옥을 사들여 한옥체험관으로 조성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 세종마을 폐가, 한옥박물관으로 조성
서울 종로 세종마을 폐가, 한옥박물관으로 조성 서울 종로구는 세종마을(서촌)에 폐가로 방치된 한옥을 사들여 한옥체험관으로 조성한다고 14일 밝혔다. 지상 1층에는 전통문화체험관, 한옥전시관이 지하 1층에는 문화사랑방이 자리잡는다.
서울 종로구 제공


이 한옥은 국유재산으로 7년 전까지는 사람이 살았지만 이후 비어 있었다. 종로구는 매입 후 이달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치고 내년 8월 박물관을 준공할 계획이다.

지상 1층에는 전통문화체험관, 한옥전시관이 지하 1층에는 문화 사랑방이 자리 잡는다.

전통문화체험관에서는 서예, 주조활자 체험, 한지를 이용한 소품 만들기, 제기차기, 투호, 인문학 강의 프로그램이 열린다.

한옥전시관에는 한옥의 구조와 특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모형물이 전시되고 한옥 짓기 체험도 해볼 수 있다. 문화 사랑방은 다도체험이나 세미나 공간으로 쓰인다.

세종마을은 쇠퇴 이미지가 강한 ‘서촌’에 불만을 느낀 주민이 모여 사단법인 세종마을가꾸기회를 설립해 2011년 새 명칭을 부여하면서 생긴 이름이다.

이 지역은 겸재 정선, 추사 김정희, 근대화가 이중섭과 이상범, 시인 윤동주와 이상 등 근대 문화예술의 주역들이 주로 활동했던 곳이기도 하다.

김 구청장은 “세종마을의 역사·문화적 위상에 걸맞은 한옥체험관이 잘 만들어져 관광객들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널리 알릴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