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유치원 연간 비용 245만원…서울은 345만원

사립유치원 연간 비용 245만원…서울은 345만원

입력 2013-09-01 00:00
수정 2013-09-01 1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립대 등록금 ‘훌쩍’ 넘는 연 1천253만원 유치원도

사립유치원의 학비 부담이 전국 평균 연 245만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지원금을 제외하고 순수 학부모 부담금만 공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역별로 서울의 사립유치원이 월등히 비쌌다. 서울의 한 사립유치원은 연간 비용이 1천200만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교육부는 유치원 정보공시 사이트인 ‘유치원 알리미’(e-childschoolinfo.moe.go.kr)를 통해 원비 현황, 회계 결산서, 유치원 규칙, 위반내용 및 조치결과 등 4개 항목을 공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공시에 국립 3개원, 공립 4천516개원, 사립 4천40개원 등 모두 8천559개원이 참여했다.

만 5세 이상 기준 교육과정과 방과 후 과정 비용을 합한 월 교육비는 사립유치원이 전국 평균 19만1천737원으로, 공립의 1만3천285원보다 14배나 많았다.

이번 공시부터 유치원비를 학부모의 실질부담금과 국가부담금을 구분·공표하게 해 과거 자료와 달리 실제 학부모가 내는 비용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게 됐다.

또 시·도교육청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을 표기하는 ‘기타부담금’ 항목도 신설했다.

만 3세의 학부모 실질 부담금은 사립이 19만1천352원, 국·공립은 7천832원이고, 만 4세는 사립이 19만3천294원, 국·공립은 1만2천106원이었다.

만 5세 이상의 사립유치원 월간 교육비를 연간으로 환산하고 입학경비를 더한 연간 비용은 244만8천원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만 5세 이상 기준으로 서울이 27만1천682원으로 가장 비쌌다. 연간으로는 344만5천원에 달했다.

인천(22만7천521원), 경기(21만9천737원), 울산(21만1천468원) 등도 월간 유치원비가 20만원을 웃돌았다.

이와는 달리 강원(9만5천526원)과 충북(9만5천871원)은 유치원비가 서울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유치원은 서울시 성북구의 우촌유치원이다. 월간 교육비가 100만원으로 서울 사립 평균의 4배나 됐다. 연간으로 교육비를 환산하면 1천253만원으로 웬만한 사립대학 등록금보다도 비쌌다.

경기도 용인시의 강남대부설유치원(71만5천원), 서울시 성동구의 한양여대학교부속유치원(71만1천600원), 서울시 강동구의 의명유치원(69만7천원), 서울 성동구의 프라임유치원(67만5천830원) 등도 이른바 ‘귀족 유치원’ 수준이었다.

이번에 새롭게 공시하는 유치원 특성화 활동 현황을 보면 만 5세 기준으로 원아 1명당 특성화 활동비가 사립유치원이 3만8천784원으로, 공립의 3만3천551원보다 5천233원(15.6%) 비쌌다.

주당 운영횟수는 사립이 6.2회, 공립의 3.9회보다 많았지만 일일 운영시간은 사립 136분, 공립 130분으로 엇비슷했다. 참여 원아 수는 사립이 93명으로 공립 53명의 배 가까이 됐다.

교육부는 특성화 활동의 적정기준을 반영한 방과 후 과정 운영기준을 마련해 내년부터 유치원 방과 후 과정 지도·점검에 활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