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협동조합은 비정규직ㆍ실업 해소 대안”

박원순 “협동조합은 비정규직ㆍ실업 해소 대안”

입력 2012-11-16 00:00
수정 2012-11-16 09: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협동조합의 가장 큰 장점으로 ‘주인의식’ 꼽아

박원순 서울시장은 15일(현지시간) “협동조합이야말로 사회복지 영역에서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해 비정규직, 실업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리 사회 양극화의 대안”이라고 밝혔다.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 등 제3의 영역이 늘어나면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추진해온 주택, 교육, 돌봄, 보건 등 복지정책을 펼치면서 지속 가능한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형 사회적경제’의 밑그림을 그리려고 유럽을 순방 중인 박 시장은 협동조합이 활성화된 이탈리아 볼로냐에서의 2박3일 일정을 마무리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 사회에 방치된 틈새 서비스, 비즈니스 영역 등을 발굴하면 실업자, 은퇴한 어르신, 청년 등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데 협동조합 형태가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협동조합의 가장 큰 장점으로 ‘주인의식’을 꼽았다. 협동조합원이 되면 스스로 일자리를 만들고 주인이 되기 때문에 열정과 업무 효율성, 창조성이 발휘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박 시장은 또 “국공립보육시설이 쇠퇴하는 반면 민관 연대 협동조합 방식의 ‘카라박(KARABAK) 프로젝트’로 만든 보육원의 경우 소비자에게 질 좋은 품질의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인기가 점점 많아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카라박 프로젝트는 민-관 연대방식으로 보육시설을 설립, 노동자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수요자들에게는 질 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볼로냐의 프로젝트다. 정부가 보육시설 부지와 운영비를 지원하고 어린이집 건설비용은 협동조합이 공동 부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조합이 일정기간 운영한 후 소유권을 시로 이전한다.

한편 박 시장은 볼로냐에 공장을 둔 수제화 기업인 아 테스토니를 방문한 자리에서 “장인정신이나 솜씨도 중요하지만 재료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새롭게 배웠다”며 성수동 수제화단지에 공동재료센터 같은 것을 만들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아이디어로 제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꽃재교회와 함께 마련한 어르신 여름잔치 ‘브라보시니어’ 현장 함께해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3일 꽃재교회에서 열린 ‘제8회 브라보시니어’ 지역 어르신 초청 행사에 참석해 삼계탕 배식 봉사를 진행하고 따뜻한 인사말을 전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브라보시니어’는 서울시가 주최하고 꽃재교회가 주관한 2025년 서울시 종교계 문화예술 공모사업의 하나로, 총 1800만원의 서울시 예산이 투입된 지역 어르신 초청 행사다. 서울시는 종교시설을 거점으로 어르신들에게 영양 있는 식사와 문화공연을 제공하며 공동체 돌봄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해당 공모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구 의원을 비롯한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김성복 꽃재교회 담임목사 겸 감독 등 주요 내빈들이 참석했으며 김 부시장은 인사말에서 “서울시 예산이 지역 어르신들을 위한 따뜻한 손길로 실현되는 현장을 보니 매우 뿌듯하다”라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어르신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장에서는 뉴왕십리오케스트라의 연주, 꽃재망구합창단의 합창, 구립 꽃초롱어린이집 원아들의 율동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이어졌으며, 성동구와 중구 어르신 500여명이 참석해 흥겨운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꽃재교회와 함께 마련한 어르신 여름잔치 ‘브라보시니어’ 현장 함께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