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총재 별세 이후 통일교 후계구도

문총재 별세 이후 통일교 후계구도

입력 2012-09-04 00:00
수정 2012-09-04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인 한학자 총재직책 승계 1세대 원로들 중심추 역할 후계 놓고 ‘왕자의 난’ 잠복

3일 문선명 총재가 별세하면서 통일교의 후계구도에 관심이 쏠린다. 통일교 관계자들은 일단 문 총재의 부인인 한학자(69) 여사가 총재직을 승계한 뒤 문 총재와 통일교를 함께 일군 1세대 원로들이 중심추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요직에 포진한 아들들이 본격적으로 개입할 경우 자칫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


문 총재는 모두 7명의 아들을 뒀으나 장남 효진씨와 차남 흥진씨, 6남 영진씨가 각각 2008년, 1984년, 1999년 숨졌다. 5남 권진씨는 통일교와 무관하게 미국에 체류 중이다.

최근 1∼2년새 후계를 둘러싸고 언론 지상에 이름이 오르내린 인물은 3남인 문현진(43) 통일교세계재단(UCI) 회장 겸 글로벌피스페스티벌(GPF) 재단 이사장, 4남인 문국진(42)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유지재단(이하 통일교재단) 이사장 겸 통일그룹 회장, 7남인 문형진(33) 통일교 세계회장이다.

현재로선 문국진 이사장이 최고경영자로 통일그룹을 비롯한 통일교가 운영하는 기업(세계일보·워싱턴타임스 포함)을 맡고, 문형진 회장이 영적인 리더로서 통일교를 책임지는 구도다. 2010년 6월 문 총재가 문형진 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하는 선포문을 작성, 발표했다. 하지만 후계구도에서 밀려난 문현진 회장도 UCI의 자산을 바탕으로 GPF란 비정부기구(NGO)를 만들어 남미·아프리카 등 제3세계 국가들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통일교 안팎에서는 통일교가 보유한 여의도 국제금융업무지구의 부지에 63층, 53층짜리 오피스텔 두 동을 짓는 공사를 놓고 송사를 벌이는 등 대립했던 만큼 언제 ‘왕자의 난’이 다시 불거질지 알 수 없다는 반응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9-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