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선’ 의혹만 부풀려…검찰 원점부터 재수사
경찰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 사건에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관련자들 사이의 자금 거래를 분석하면서 발표 내용을 번복해 수사에 다시 한번 오점을 남겼다.경찰청은 피의자 중 한명인 차모씨의 검찰 송치 하루 전인 15일 보도자료를 내고 박희태 국회의장실 전 수행비서 김모씨에 대한 거짓말탐지기 조사결과 거짓반응이 나온 점을 들며 거래 금액 중 1천만원이 디도스 공격에 대한 대가성 금액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씨는 디도스 공격이 있기 6일 전인 10월20일 공씨에게 1천만원을, 공격이 있고난 뒤 약 보름만인 11월11일에는 디도스 공격을 실행한 강모씨에게 9천만원을 보냈다.
하지만 경찰청 관계자는 이 같은 내용의 보도자료를 설명하는 자리에서는 “오간 돈이 이번 사건과 관련한 금전거래가 아니라는 판단은 유효하다”며 “다만 거짓말탐지기 결과를 보면서 이 같은 판단을 확신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라고 대가성에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경찰이 이 자금 거래를 개인 간 거래로 보는 이유로 강씨가 자신의 스마트패드에 저장된 여신 내역에 ‘OO형 1천만원’, 9천만원 건은 이자 30%가 더해진 ‘OO형 1억1천700만원’ 등으로, 여타 관련자들도 유사한 기록을 남긴 점에 주목했다.
김씨가 공씨에 1천만원, 강씨에 9천만원, 참고인인 피부과 의사에 1억7천만원 등 도합 2억7천만원을 빌려줬는데 이 자금의 출처는 전셋집을 옮기면서 남은 1억7천만원, 대출 회수금 5천만원, 평소 계좌 잔고 2천만원, 마이너스 대출 2천만원 등으로 규명됐다는 게 경찰 설명이다.
김씨가 이외에 특정인으로부터 뭉칫돈을 받은 정황은 없다고 경찰은 부연했다.
하지만 경찰이 수상한 자금거래를 수상하지 않았다고 못박았다가 대가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번복했다가 다시 기존 결론이 유효하다고 오락가락하는 과정에서 자금 거래에 대한 의구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 김씨가 이 자금들을 과연 100% 본인이 조달했다고 할 수 없는 만큼 윗선이 개입돼 자금을 융통해줬을 의혹마저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핵심 참고인인 김씨가 범행을 부추겼거나 최소한 방조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경찰은 아직 의구심을 갖고 있다.
경찰이 이번 사건에 대한 윗선을 규명하지 못한 가운데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은 경찰이 수사 결과를 마지막으로 설명하는 날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의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하는 등 원점에서부터 수사를 다시 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 조직의 명운이 걸린 사건이라고 판단해 한점 거리낌 없이 수사를 해왔지만 결과적으로 경찰의 자존심과 신뢰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면서 “핵심 참고인인 김씨의 여죄 등 부분에 대한 보강수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