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윤희 감독의 다큐멘터리 ‘하얀 정글’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원 안팎의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병원에 갈 엄두를 못 내 찢어진 무릎을 환자가 직접 꿰매는 모습 등 자극적인 장면으로 유명한 미국 감독 마이클 무어의 다큐멘터리 ‘식코’(Sicko) 같은 영상을 기대한다면 다소 지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에는 우리 의료 현실에 대해 진솔하게 고민하는 의료관계자들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한 원무과 직원은 진료비 확인신청을 하는 환자들에게 “웃으면서 협박을 한다.”고 말한다. 또 “고가 첨단장비를 많이 이용하도록 해 실적을 올린 직원은 인센티브를 준다.”는 한 의사는 일일 외래 진료환자 수와 병상가동률을 통보하는 병원의 단문메시지를 직접 보여주기도 한다. 그는 “(기분이) 좋을 수는 없다.”고 토로한다. 자신들도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하소연이다. 송 감독도 영화 속에서 환자를 진료했던 경험담을 소개하며 “치료 중 마음의 상처를 입은 환자들에게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고 고백한다.
한 할머니는 의료급여 환자를 차별하는 의사에 대해 “서럽기는 하지만 할 수 없다. 그러려니 하자.”며 애써 스스로를 위로한다. 영화는 이러한 모습을 보여주며 스스로를 “시장에 내맡겨진 우리 의료제도의 한계 때문에 갈등하는 환자들과 의사들의 이야기”라고 소개한다. 영화는 올해 ‘인디다큐 페스티벌’에서 실험상을 받았다.
한편 영화는 7일 의료시민단체들이 주관하는 환자권리주간을 맞아 서울대병원에서 상영회를 갖는다. 또 야 4당 초청으로 국회 상영도 예정돼 있다.
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1-06-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