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절차·예우 어떻게
조국을 지키겠다고 집을 나섰다가 영원히 돌아오지 못한 46명의 장병에 대해 온 국민이 애도를 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들에게 전사자 예우와 함께 1계급 진급과 화랑무공훈장을 추서했다.천안함 실종장병 46명에 대한 장례절차는 25일부터 전국에서 동시에 시작됐다. 시신이 발견된 40명과 시신조차 찾지 못한 6명에 대해 함께 장례절차가 이뤄진다. 시신을 찾지 못한 6명의 장병은 해군에서 보관하고 있는 손톱과 머리카락, 유품 등이 시신을 대신한다.
해군장(葬)으로 29일까지 5일간 치러지며 해군과 정부가 함께 편성한 장의위원회는 위원장인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을 포함해 72명으로 구성됐다. 장의위는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 대표분향소를 차리고 전국의 군부대에 90개 분향소를 설치했다.
장례기간을 전군 애도기간으로 정했으며 전우들의 마지막 길을 애도하는 현수막을 설치하고 검은색 넥타이와 근조리본을 달도록 했다.
염습과 입관 절차는 이보다 앞서 23일부터 시작됐다. 26일까지다. 또 24일부터 28일까지 화장이 진행된다. 오랜시간 물 속에 있어 시신의 훼손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자 가족들의 요청으로 일부 장병들에 대해 공식 장례일정이 시작되기 전 염습과 입관, 화장절차를 마무리했다.
영결식은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2함대사령부 안보공원에서 장의위 주관으로 진행된다. 유가족과 정운찬 국무총리, 김태영 국방부 장관, 역대 참모총장 등 28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기에 대한 경례와 고인에 대한 경례, 화랑무공훈장 추서, 경위보고, 조사와 추도사,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순으로 이어진다. 5발씩 3회에 걸쳐 총 15발의 조총이 발사되고 묵념을 끝으로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출발한다. 오후 3시 도착한 이들의 영현은 안장행사를 거쳐 4시 합동묘역에 안장된다.
앞으로 군은 평택 2함대사령부 내에 추모관과 충혼탑을 건립할 예정이며 유족지원책임관을 임명해 유가족에 대한 보상부터 복지까지 모든 부분에 대해 지원할 예정이다.
오이석 강주리기자 hot@seoul.co.kr
2010-04-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