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처형된 장성택 측근 명단 재외공관 송부”

“北, 처형된 장성택 측근 명단 재외공관 송부”

입력 2014-01-31 00:00
수정 2014-01-31 1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멍이 든 장성택의 사형집행 전 모습. YTN 영상캡쳐
멍이 든 장성택의 사형집행 전 모습. YTN 영상캡쳐
북한 정부가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과 측근들의 숙청과 관련, 이달 초 주요 재외공관에 처형한 노동당 간부 등 16명의 명단을 송부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31일 ‘복수의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북한은 장성택과 그의 두 최측근으로 작년 11월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진 리룡하(생전 노동당 행정부 제1부부장)· 장수길(생전 행정부 부부장)을 비롯, 박춘홍·량청송(이상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등 총 16명의 이름이 적힌 전문을 중국, 유럽, 동남아 등지의 주요 재외공관에 송부했다.

전문에는 처형사유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충성을 다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이 명단에는 장성택의 매형인 전영진 주 쿠바 대사와 조카인 장용철 주 말레이시아 대사, 박관철 주 스웨덴 대사, 홍영 유네스코 주재 북한 대표부 부대표 등 작년 12월 해외에서 긴급 소환된 인물들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요미우리는 보도했다.

대북 소식통은 “처형된 인사 명단을 송부한 것은 재외공관을 통한 외화벌이 사업에서 장성택 세력이 전멸했으며, 그 사업권이 군으로 이관됐음을 통지하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고 요미우리는 소개했다.

북한은 작년 12월12일 특별군사재판에서 장성택 전 부위원장에 대해 ‘국가전복음모행위’ 등 죄목으로 사형을 선고하고 즉시 집행했다고 이튿날 발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