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올림픽 참석 가능성도 낮아진 듯
“한미, 종전선언 문안 사실상 합의”

정의용 외교부 장관, 내신기자단 브리핑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내신기자 대상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12.29 공동취재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중국에 가더라도 이를 발판으로 삼아 종전선언 논의를 진전시키거나 남북대화의 물꼬를 트기가 쉽지 않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의 베이징올림픽 참석 가능성이 낮아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으로 문 대통령의 개회식 참석이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남북대화의 진전이 어렵다면 굳이 문 대통령이 갈 이유가 없으며, 대신 국무총리나 장관급 정부 관계자가 방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장관은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대해선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재확인했고, 중국이 올림픽에 문 대통령을 초청했는지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공유할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어떠한 방식으로 참석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상황을 검토해서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고 모든 계기를 이용해 남북 관계 개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조기 재가동을 위해서 정부는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한미 간 문안에 관해서도 사실상 합의가 돼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정부 고위 당국자가 종전선언에 대해 한미 간에 사실상 합의가 이뤄졌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다만 북한과도 공유됐느냐는 질문에는 “세부적 내용은 현 단계에서 공유하기가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한국이 2015년 위안부 합의를 이행하지 않은 게 원죄’라는 취지의 지난 10월 국정감사 당시 국민의힘 조태용 의원의 주장과 관련한 질문에는 “원죄가 어디 있는지는 여러분이 잘 아시지 않느냐”고 반문한 뒤 “일본이 좀더 전향적이고 합리적 대응을 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2021-12-3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