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9일 일본 자위대의 국내 입국 허용 가능성에 대해 “우리 요청이나 동의가 없는 한 용인될 수 없다”고 말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 전체회의에서 “황교안 국무총리의 발언대로 필요성이 인정되면 자위대 입국을 허용하느냐”는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의원의 질의에 “주권 관련 문제는 (해당국의) 동의나 요청이 있어야 하고 국제법도 그렇게 돼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16일 끝난 대정부 질문에서 황 총리의 ‘자위대 입국 허용’ 발언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나왔다.
윤 장관은 “황 총리 역시 정부의 입장을 바탕으로 깔고 말한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국제법에도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다른 나라에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돼 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이 문제는 수없이 외교, 국방 당국에서 말했고, 미국과도 협의해서 잘 안다”면서 “이러한 우려와 관심이 상당 정도로 미국 방위지침에 반영돼 있고, 일본 국내법에도 많이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윤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 전체회의에서 “황교안 국무총리의 발언대로 필요성이 인정되면 자위대 입국을 허용하느냐”는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의원의 질의에 “주권 관련 문제는 (해당국의) 동의나 요청이 있어야 하고 국제법도 그렇게 돼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16일 끝난 대정부 질문에서 황 총리의 ‘자위대 입국 허용’ 발언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나왔다.
윤 장관은 “황 총리 역시 정부의 입장을 바탕으로 깔고 말한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국제법에도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다른 나라에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돼 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이 문제는 수없이 외교, 국방 당국에서 말했고, 미국과도 협의해서 잘 안다”면서 “이러한 우려와 관심이 상당 정도로 미국 방위지침에 반영돼 있고, 일본 국내법에도 많이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