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표와 담판서 최고위 출석 등 확정
사무총장직 인선 등을 놓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갈등을 빚었던 이종걸 원내대표가 최고위원회 출석 등 당무 복귀를 2일 확정했다. 문·이 대표는 이날 오후 4시 30분쯤부터 2시간 30여분간 회동을 가진 뒤 밤 10시 최종담판 성격으로 다시 만나 이같이 결정했다고 김성수 당 대변인이 전했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오른쪽) 대표와 이종걸(왼쪽) 원내대표가 2일 서울 중구 소공로의 한 호텔에서 심야회동을 마친 뒤 돌아가고 있다. 당직 인선에 반발해 당무를 거부해온 이 원내대표는 이날부터 업무에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원내대표는 앞서 문 대표가 신임 사무총장에 범주류인 최재성 의원을 임명하자 이에 반발하며 당무를 거부해 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당내 계파 문제와 당직 인사 문제 등을 폭넓게 논의한 데 이어 문 대표가 비주류를 겨냥해 “계파 나눠 먹기식 공천은 없다”는 취지로 쓴 ‘당원에게 드리는 글’의 문제점도 조목조목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동에서는 정책위의장과 조직사무부총장 등 인사 문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조만간 추가 인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강기정 의원이 맡고 있는 정책위의장직은 유임이 유력했지만, 원내대표와 러닝메이트 성격으로 함께 호흡을 맞춰야 하는 당직의 성격상 비주류 인사로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김 대변인은 “일부 당직 인선에서 소통이 부족했다는 점에 두 대표가 공감했다”고만 밝혔다.
이 원내대표가 당무에 복귀하며 야당은 ‘거부권 정국’에서 오랜만에 일치단결된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 대표는 이날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이라는 책을 서한과 함께 소속 의원 129명에게 보내는 등 내년 총선 준비를 본격화할 뜻도 나타냈다.
하지만 당 내홍이 여당의 분열상에 가려진 측면도 있어 이후 국면에서 계파 갈등 등의 문제가 또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날 회동 결과가 나오기까지도 진통의 연속이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이날 국회법 개정안 재의를 앞두고 여당의 표결 참여를 요구하는 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돌리는 등 장외 여론전을 펼쳤다. 또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겨냥한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 심판’ 발언이 공직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유권해석을 의뢰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였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5-07-0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