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관리소홀로 자살한 병사, 국가유공자 인정해야”

“軍 관리소홀로 자살한 병사, 국가유공자 인정해야”

입력 2014-12-31 09:04
수정 2014-12-31 09: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자살 위험성이 사전에 예견됐는데도 지휘관의 관리 소홀로 선임병의 욕설·질책에 노출돼 자살한 병사를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31일 밝혔다.

중앙행심위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2월 육군에 입대한 A(사망 당시 26세) 상병은 선임병들의 심한 욕설과 질책, 다른 부대원과의 대화 금지 강요 등을 견디다 못해 이듬해 11월 자해를 시도해 한 달 뒤 숨졌다.

이에 A 상병의 아버지는 지난해 2월 서울남부보훈지청에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유족 등록을 신청했고, 보훈지청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중앙행심위에 행정심판을 청구했다.

중앙행심위는 “A 상병이 군의 각종 인성검사 결과 자살 시도 가능성이 있다는 판정을 받았지만 A급 특별관리대상 관심병사가 아닌 C급 단순 복무 부적응자로 분류하는 등 전반적인 관리·감독 부실이 확인된다”며 “보훈지청이 국가유공자 유족 등의 등록을 거부한 것은 부당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