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노(NO) 선거캠프’ 실험 추진

문재인 ‘노(NO) 선거캠프’ 실험 추진

입력 2014-12-21 10:24
수정 2014-12-21 1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정치민주연합의 유력 당권주자인 문재인 의원이 내년 2·8 전당대회에서 ‘노(No) 캠프’ 선거운동을 추진 중인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문재인 의원
문재인 의원


선거대책위는 물론 지지자들의 활동공간인 선거사무실조차 차리지 않고 전대를 치르겠다는 구상이다.

문 의원은 최근 선거운동의 ‘콘셉트’와 관련해 “캠프를 별도로 꾸리지 않을 생각”이라는 의중을 주변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문 의원은 “거창하게 안 했으면 좋겠다”며 “각자의 위치에서 일하면 된다. 필요한 회의 등이 있으면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을 기지로 삼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는 후문이다.

주변 인사들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통적인 여의도식 선거운동 방식의 틀을 깨 새로운 정치문화를 만들어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하고 “돈 안드는 선거를 통해 투명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구상에는 전대가 ‘친노 대 비노’라는 정치공학적 프레임으로 흘러선 안 된다는 문 의원의 소신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별도의 선대위를 꾸리지 않는 차별화를 통해 줄세우기 논란과 친노 주류의 세과시에 대한 반발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겠다는 의도도 읽혀진다.

물론 현실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지만, 일단 당은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의 선거캠프 참여를 봉쇄하는 등 이번 전대에서 계파활동을 전면 금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다.

그러나 문 의원의 이런 구상이 현실로 그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그 주변에서조차 “최소한 선거운동을 움직일 손발은 필요한 것 아니냐”며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선거 캠페인 자체를 기존 틀을 탈피해 새롭게 바꾸려고 여러가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언급, ‘탕평 선거’의 큰 기조가 바뀌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비노 인사를 실무인력으로 영입하는 방안도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에서 비노 측을 중심으로 ‘빅 3’ 불출마론이 불거지는 가운데 문 의원은 당권 도전 쪽으로 결심을 굳히고 출마 채비를 서두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빅 3 가운데 박지원 의원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사실상 출마 선언을 해 동반 불출마론에 쐐기를 박은 것과 무관치 않다.

출마 선언 시기는 유동적이나 후보등록일(29∼30일)에 임박한 시점이 될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1 /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