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지원, 경의선 육로로”…민간단체들, 정부에 요청

“대북지원, 경의선 육로로”…민간단체들, 정부에 요청

입력 2013-09-05 00:00
수정 2013-09-05 08: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10월 이후 육로 수송 막혀…통일부 “시기상조”

대북지원 민간단체들이 북한에 지원할 물품을 경의선 육로로 수송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통일부에 요청했다.

국내 57개 대북지원 민간단체의 협의체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회장 인명진 목사)는 통일부가 지난 2일 12개 민간단체의 인도적 대북지원을 추가로 승인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직후 이 같은 건의사항을 전달했다고 5일 밝혔다.

강영식 북민협 운영위원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경의선 육로를 이용하면 중국을 거칠 때보다 물품 수송 비용과 기간이 엄청나게 줄고 남북교류 확대라는 상징적 의미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북측 협력상대인 민족화해협의회도 이미 경의선 육로 수송에 동의한다는 뜻을 전해왔다”며 남북이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하고 기업인들의 방북도 이뤄지고 있는 만큼 경의선 육로를 통한 대북지원도 허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2일 대북지원 승인예정 대상에 오른 12개 단체 가운데 8개 단체는 북민협에 경의선 육로 수송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경의선 육로를 통한 대북지원은 남북관계 경색과 개성공단 사태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0월 북민협의 수해지원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이 때문에 올해 대북지원 승인을 받은 민간단체들은 국내 항구에서 지원물자를 선박에 실어 중국 단둥(丹東)이나 다롄(大連)으로 보낸 뒤 다시 북한으로 들어가는 배에 옮겨 싣거나 중국에서 직접 물품을 구입해 트럭으로 보내고 있다.

인천에서 북한 남포항까지 20피트 짜리 컨테이너 1개를 보낼 경우 물류비는 200만∼300만 원, 수송기간은 1∼2주가 소요되는 데 비해 경의선 육로를 이용하면 더 많은 물량을 실을 수 있는 25t 트럭 1대를 보내는 데 60만원이면 되고 오전에 보내면 당일 오후에는 도착한다는 것이 단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통일부는 경의선 육로를 통한 지원은 아직은 때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아직 개성공단 재가동 협상이 진행중이고, 신변안전 문제 등이 논의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경의선 육로를 통한 물자지원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강동엄마’ 박춘선 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 지난 21일 미래한강본부 담당자들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 한강변을 찾았다. 이번 방문은 지난 산책로 조성 이후 변모된 현장을 살피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가래여울 한강변은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상당 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박 의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주민들이 산책하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해 나가는 중이다. 이날 박 의원은 현장점검에서 새로 교체된 막구조 파고라와 산책로 주변 수목 정비 및 6월 1차 풀베기와 가지치기 작업 상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7월 중 실시될 2차 풀베기 일정까지 꼼꼼히 챙겨봤다. 박 의원은 관계자들과 함께 장마로 훼손된 잔디와 생태교란식물 제거, 편의시설 보강 등 세부적인 관리 개선책을 논의하며 가래여울 한강변을 “방치된 공간에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쉼터로 만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적극 행정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두 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올해 7월부터 9월까지는 간이 피크닉장을 조성하여 ▲평의자 4~5개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토사 유출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동구 가래여울변 한강 산책로 조성 이어 자연친화 쉼터 조성 본격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