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이틀이 지난 19일 낮 공식 발표된 것을 두고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번 발표는 사망 다음날 공식 발표가 있던 김일성 사망 때보다 하루가 더 지난 후에 이뤄졌다. 북한은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을 때에는 당일인 7월 8일보다 하루 늦은 7월 9일 정오에 이를 발표했다.
이미지 확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7일 오전 8시30분 과로로 열차에서 사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정일위원장이 지난 1998년 정주영 현대그룹회장과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7일 오전 8시30분 과로로 열차에서 사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정일위원장이 지난 1998년 정주영 현대그룹회장과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대부분 북한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 사망 발표 이후 전개될 내부 혼란을 북한 지도부가 정리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해석한다.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을 맡은 후계자 김정은의 3대 세습 체제가 아직 공고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김 위원장 사망 발표가 야기할 사회적 동요를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었다는 관측이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 사망 이후 발표 시점까지 군부의 움직임 등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데 만만치 않은 시간이 걸렸을 것이란 의견도 제기된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또 다른 원인도 있다고 지적한다. 심근경색의 특징상 법의학적으로 사망의 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법의학자들에 따르면 사인이 급성 심근경색일 경우 사망 후 바로 시신을 부검하면 오히려 사인을 찾을 수 없다. 실제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환자의 심장 근육 뒤쪽에는 연황색 또는 황갈색의 띠가 생긴다. 갑작스런 심장변화로 심근이 괴사한 흔적이다. 또는 부분적으로 괴사가 난 주변엔 흰색의 섬유화가 생기기도 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심근에 심근경색의 흔적이 남는 데 걸리는 시간이 최소 반나절 정도는 걸린다는 점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법의학자는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경우 8~12시간, 심지어 24시간 내에는 눈으로 특이한 소견을 보이지 않기도 한다.”라면서 “이런 이유로 심근경색으로 의심되는 사망자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부검을 하는 것이 원칙인데 김 위원장도 비슷한 예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