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전 대표는 투표 전날인 23일까지도 무상급식에 대해 “지자체마다 사정과 형편이 다르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서 해야 한다.”는 원칙론만 제시했다.
주민투표에 대해서도 “서울시민들이 판단하실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런 소극적인 자세 때문에 그동안 당내에서 적지 않은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를 향한 당내 시선은 이 같은 비판론보다는 향후 역할론에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오 시장 사퇴 후 치러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 전 대표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항이다. 일단 보궐선거가 치러질 경우 이번 주민투표에서처럼 이를 외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보수층 결집을 위해 박 전 대표의 ‘개입’이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내년 총선·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당 지도부가 지원을 공식 요청할 경우 거부할 명분도 적어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번 주민투표를 계기로 보궐선거에서는 복지가 선거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 박 전 대표에게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압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 친박계 의원은 “이번 결과가 당은 물론 박 전 대표에게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우선은 사태 추이를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08-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