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은 24일 외환은행(현 KEB하나은행)에게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인수전 당시 냈던 계약이행보증금 2000억여원을 돌려주라고 판결했다. 사진은 2010년 현대건설 인수전에서 현대그룹 컨소시엄을 대표했던 현대상선의 대형 컨테이너선. 현대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대법원은 24일 외환은행(현 KEB하나은행)에게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인수전 당시 냈던 계약이행보증금 2000억여원을 돌려주라고 판결했다. 사진은 2010년 현대건설 인수전에서 현대그룹 컨소시엄을 대표했던 현대상선의 대형 컨테이너선. 현대그룹 제공
현대그룹은 현정은 회장이 그동안 추진해 온 그룹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이뤄내고 실적 반등에 성공하며, 해외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는 등 재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현대그룹은 2013년 12월 3조 30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선제적으로 발표한 이래, 적극적인 자구 노력을 기울인 결과 1년 반 만에 자구안을 초과 이행하는 성과를 올렸다. 현대그룹의 주계열사인 현대상선의 2014년 3분기 부채 비율은 764%로 2013년 말 1397%에서 633% 개선됐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5월 신용등급이 기존 BB+에서 BBB-(안정적)로 한 단계 상승하며 투자 등급으로 조정됐다. 이처럼 현대그룹이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던 데는 현 회장의 뛰어난 경영 능력과 리더십이 있었다는 게 재계 안팎의 평가다. 현 회장은 2014년 2월 핵심자산이었던 현대상선 LNG 운송사업 부문을 속전속결로 매각하는 수완을 발휘하며 분위기 반전의 계기를 만들고 당초 계획에도 없었던 물류계열사 현대로지스틱스 지분 매각이라는 고강도 자구책 등으로 시장의 신뢰를 이끌어 냈다. 이 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현대그룹은 1분기 실적 개선을 이뤄내며 분위기 반등에 성공했다.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은 1분기 실적이 매출 1조 5702억원, 영업이익 42억원을 기록하며 그동안의 적자에서 벗어나 턴어라운드를 달성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07-17 4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