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톡톡] 낙원상가가 세계 최대 악기 전문상이 된 까닭…기생집 즐비했던 익선동 피맛길 걸으면 안다

[미래유산 톡톡] 낙원상가가 세계 최대 악기 전문상이 된 까닭…기생집 즐비했던 익선동 피맛길 걸으면 안다

입력 2018-06-14 18:30
수정 2018-06-18 09: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종묘에서 사직까지 종로 일대에는 모두 7개의 서울미래유산이 숨 쉬고 있다. 종로3가 피맛길과 우리가 흔히 익선동으로 부르는 돈화문 주변 한옥거리, 낙원동 악기 상가, 인사동 통문관, 우정총국 회화나무, 종로구청, 김봉수 작명소 등이다.
이미지 확대
참가자들이 김수근이 설계한 낙원악기상가 안 중정 구조를 신기하게 구경하고 있다.
참가자들이 김수근이 설계한 낙원악기상가 안 중정 구조를 신기하게 구경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익선동 한옥. 왼쪽 골목 끝 높은 건물은 기생집 오진암을 헐고 새로 지은 호텔건물이다. 1920년대 한옥의 개발자 정세권이 북촌보다 먼저 지은 한옥이 100여채 남아 있다.
익선동 한옥. 왼쪽 골목 끝 높은 건물은 기생집 오진암을 헐고 새로 지은 호텔건물이다. 1920년대 한옥의 개발자 정세권이 북촌보다 먼저 지은 한옥이 100여채 남아 있다.
세운상가에서 종로3가 익선동으로 가는 길에 ‘아래 피맛길’이 있다. 조선 성종 때 좁은 ‘위 피맛길’을 대체, 종로4가에서 종로5가까지 연장한 서민용 골목길이다. 세운상가의 부자재상들이 자리하면서 새로 형성된 이 길은 1960~70년대 시대극의 한 장면처럼 좁고 어둡다. 오래된 생선구이 집과 국밥집은 부근 상점과 작은 공장의 단골 식당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종로1가에서 3가에 이르는 ‘위 피맛길’이 있던 돈의동 일대는 ‘종삼’으로 알려진 집창촌에서 지금은 노숙으로 가기 전 단계의 주머니가 얇은 많은 이들이 하루하루 살아 가고 있는 ‘쪽방촌’으로 변신했다.

종로3가역 3번 출구로 향하는 익선동 피맛길을 따라 걸으면 길 양쪽으로 음식점과 귀금속상 한복연구소, 국악연구소 등이 줄지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때 ‘명월관’, ‘오진암’, ‘대화’ 등 대한제국이 패망하면서 궁중의 숙수들이 나와 차린 기생집이 즐비했다. 한복집, 악공, 국악기 상도 어울려 자리잡은 것을 볼 수 있다. 낙원악기상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복합건물로 당시 장안의 정치가, 연예인, 재력가들이 서로 살기 위한 최신의 건물이었다. 이곳에 악기상들이 모여 세계 최대의 악기 전문상가를 형성하게 된 것 역시 우연이 아니다.

인사동길을 따라 율곡로를 만나는 곳에 ‘통문관’을 거쳐 인파를 헤치고 율곡로에서 조계사 쪽으로 넘어가면 우정총국 표지석과 안내간판을 만나고 오랜 시간 묵묵히 역사현장을 지켜온 노거수 회화나무를 만나게 된다. 종로구청 앞에서 정도전 집터 표석을 볼 수 있다. 이방원에게 죽은 뒤 집은 제용감에서 사용했고, 서당 자리는 중학으로, 마구간은 사복시에서 썼다. 일제강점기에 수송초등학교 자리였다. 사직단을 향해 가다 보면 경복궁역 3번 출구 부근에 눈에 얼른 띄지 않는 작은 개량한옥에 ‘김봉수 작명소’란 간판이 보인다. 1960년대부터 유명인사들이 개명을 위해 자주 찾던 곳으로 아들이 가업을 이어받아 성업 중이다.

서울미래유산연구팀



2018-06-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