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선을 온라인뉴스부 기자
최근 고금리로 화제가 된 대표적인 상품은 ‘네이버통장’이다. 네이버의 금융 전문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과 미래에셋대우가 손잡고 내놓은 이 상품은 최고 연 3%의 예치금 수익을 내세웠다. 네이버 쇼핑·예약 등에서 결제하면 결제액의 최대 3%를 포인트로 적립해 주는 혜택도 있다.
초저금리 시대에 은행에 돈을 맡기기 주저하던 소비자라면 눈길이 갈 만하다. 하지만 알아둬야 할 점이 있다. 네이버통장은 예금이나 적금이 아니다. 이름은 ‘통장’이지만 사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종합자산관리계좌(CMA)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연 3% 수익률이 100만원까지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그마저도 오는 9월부터는 전월 네이버페이 구매실적이 10만원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보유 금액 100만원 초과 1000만원 이하엔 연 1%, 1000만원 초과엔 연 0.35%의 수익률이 적용된다. 한도 100만원에 연이율 3%를 적용하면 세전 이자가 월 2500원이다. 세금을 떼고 나면 1년에 2만 5380원 정도다. ‘고금리 상품’이라기엔 맥 빠지는 게 사실이다.

최근 신한금융지주가 선보인 ‘신한플러스 멤버십 적금’은 최고 연 8.3%의 고금리 효과를 볼 수 있는 상품이다. 그렇지만 이는 신한플러스 멤버십 가입, 신한체크카드 신규 가입과 이용, 신한금융투자 신규 거래, 신한생명 인터넷 보험 가입 등 복잡한 조건을 충족해야만 가능하다. 월 납입 한도는 30만원이다.
삼성카드와 SC제일은행이 출시한 ‘부자되는 적금 세트’ 특판도 최고 연 7%라는 파격적인 금리를 내세웠지만, 역시 조건은 간단하지 않다. 삼성카드에 새로 가입하거나 6개월 동안 결제 이력이 없는 고객이 SC제일은행 제휴 삼성카드를 발급받고 1년 동안 월평균 30만원 이상을 써야 한다. 월 납입 금액은 10만원 혹은 25만원이다.
이처럼 한도가 낮은 고금리 상품이라도 조건을 잘 맞춰 여러 개 가입하면 충분히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다만 스스로 조건 등을 꼼꼼히 살펴본 뒤 가입해야 실제 받는 이자를 보고 실망하지 않을 것이다.
csunell@seoul.co.kr
2020-06-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