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작물선택·현장체험 1~7월 500여명 다녀 가
오병덕(52)씨는 지난 2월 경기 이천 고향에 내려왔다. 서울에서 의류업 등 개인사업을 했지만 예전만큼 돈벌이가 되지 않자 귀촌을 택했다. 여러해 전부터 전원생활을 꿈꿨지만 농지 구매나 작물 선택을 위한 정보가 없어 머뭇거려 온 터였다. 다행히 올 초 서울역에서 열린 농촌진흥청 직장인 귀농교육을 받고서 목표를 구체화했고 고향에서 인삼을 키우며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역에서 열리는 농진청의 귀농 교육 프로그램이 눈에 띈다.
농진청 교육은 귀농을 희망하는 직장인이 궁금해할 만한 과목들로 채워졌다. 농지 구매 및 작물 선택 방법, 귀농 성공 사례 소개, 기초 농업기술 강의 등이 세부 주제다. 교육 뒤에는 기차를 타고 귀농 희망지역을 현장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올 1월부터 7월까지 7기에 걸쳐 모두 500여명의 직장인이 거쳐 갔다. 애초 모집인원보다 40%를 추가로 뽑았을 만큼 인기가 좋다.
농진청은 다음 달부터 심층 교육을 위한 엘리트 귀농대학을 열기로 했다.
참가자 중에는 베이비붐 세대가 특히 많다. 5기 수강생 중 50대가 50%였고 40대도 26.2%에 달했다. 은퇴를 앞두고 번잡한 도시를 벗어나려는 중년층이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40대 미만은 16.3%였다. 젊은층은 농업을 고수익이 가능한 ‘블루오션’으로 여기고 귀농을 택한다.
귀농 교육 참가자는 대부분 수도권 및 강원·충청권에 정착하기를 원한다. 고향으로 내려가면 쉽게 정착할 수 있겠지만 경관이나 수도권과의 인접성 등을 따져 멀리 떠나는 것을 원치 않는다. 특히 베이비붐세대는 소유 주택 등 생활 기반이 서울에 남아 있기 때문에 1주일 중 나흘은 교외에서 농사를 짓고 사흘은 서울에서 생활하고자 한다.
농진청 관계자는 “경치 좋은 곳에서 적당히 일하며 안정된 수입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환상은 거둬들여야 한다.”면서 “농촌 지역민들과 얼마나 빨리 융화할 수 있는가가 성공적 귀농의 첫째 요건”이라고 강조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08-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