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50년째 서민 물가 바로미터…라면값의 경제학

[커버스토리] 50년째 서민 물가 바로미터…라면값의 경제학

입력 2013-08-31 00:00
수정 2013-08-31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드리면 다치는 ‘서민의 한끼’

보름 뒤면 라면이 우리나라에 상륙한 지 50년이 된다. 삼양라면은 1960년대 후반 신문에 ‘라면의 영양이 쌀밥보다 뛰어나다’는 광고를 냈다. 1원으로 낼 수 있는 열량을 비교해 봤더니 라면은 31.4㎉로, 쌀밥·콩나물국·김치로 차린 한상(26.1㎉)보다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생선 조림에 후식까지 넣은 ‘상류생활’의 한 끼는 8.5㎉로 라면에 비해 턱없이 낮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1963년 9월 15일 국내에 처음 나온 라면에는 ‘제2의 쌀’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전후 식량난을 해소하고자 등장한 구원투수였다. 1960년대 시작된 분식장려 정책과 맞물려 인스턴트 라면이 쏟아졌다. 삼양식품은 국가 보건행정 발전에 기여했다며 1967년 3월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식품 기업으로는 처음이었다.

서민의 곯은 배를 채워 줘야 하다 보니 가격은 최저가였다. 처음 나온 삼양라면의 소비자 가격은 한 봉에 10원, 현재는 780원(농심 신라면 기준)이다. 같은 기간 서울시내 버스 요금은 5원에서 1150원으로 라면보다 3배가량 올랐다. 대표적인 서민 외식 메뉴인 짜장면은 1960년대 초 15원으로 라면 한 봉 가격과 비슷했지만 지금은 한 그릇에 5000원은 줘야 먹을 수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낸 통계연보에 따르면 1975년 대비 2011년 서울 물가는 평균 9.4배 올랐다. 라면은 이에 못 미치는 7배 인상에 그쳤다. 버스 요금과 짜장면은 각각 24.4배, 26.4배 올랐다. 라면보다 안 오른 건 담배, 닭고기, 맥주뿐이었다.

라면은 정부의 엄격한 가격 통제를 받았다. 경제기획원(현 기획재정부)은 1974년 ‘12·7 특별조치’를 통해 라면 등 58개 주요 생필품을 행정규제 품목으로 정했다. 해당 기업은 가격을 올리기 전에 주무부처 및 경제기획원과 협의해야 했다. 라면 업계 관계자는 “국제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라면값을 인상해야 하는 요인을 설명해도 정부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가격을 올리기 힘들어 이윤이 적어지자 라면 업체들은 라면에서의 손실액을 메우려고 과자, 조미료, 우유 등 다른 사업에 손대기 시작했다. 또 기존 제품 대신 신제품 라면을 내서 가격을 올려 받는 편법을 썼다.

라면값 통제는 2000년대 들어서도 계속됐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들어서자마자 MB물가지수를 정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민생과 밀접한 52개 품목을 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특별 관리했다. 라면은 소주, 두부 등과 함께 포함됐다.

이명박 정부 5년간 물가 안정의 총대를 멘 건 공정거래위원회였다. 김동수 전 공정거래위원장은 라면 업계에서 ‘저승사자’로 통했다. 김 전 위원장은 2011년 나온 프리미엄 라면 신라면블랙의 가격(1600원)이 적정한지 살펴보겠다며 돋보기를 들이댔다. 그러곤 ‘설렁탕 한 그릇의 영양을 담았다’는 허위·과장 광고를 했다며 농심에 1억 5500만원의 과징금을 매겼다. 지난해 3월에는 농심, 삼양라면, 오뚜기, 팔도 등 4개 업체가 2001년부터 9년 동안 담합한 사실을 조사해 1354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업체들은 관례대로 정부의 가격지도를 받았을 뿐이라고 반발하며 행정소송을 진행 중이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2013-08-3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