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8명에 도달했다. 신생아 숫자로는 25만명 이하다. ‘출생아 20만명 시대’는 앞으로 10년 정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 시기는 한 해 90만~100만명이 태어난 1차 베이비붐세대(1955~64년생)가 65세 이상이 되는 시기와 겹친다. 이후로도 2차 베이비붐세대(65~74년생) 막내인 1974년생이 65세가 되는 2039년까지 매년 60만명 안팎의 노인 인구가 새로 탄생한다. 그 기간 한국인의 삶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핵가족을 이루는 신생아 수가 주는 대신 고령 성인 숫자가 늘면서 ‘4인가족’ 시대는 저물 전망이다. 저출생 세대는 이미 ‘어린이집→학교→대학→병역→채용’의 단계마다 미달 사태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농촌에서 먼저 시작한 고령화는 도시까지 영향력을 금세 확장할 예정이다. 그 밖의 삶의 변화들을 그려 봤다.
이미지 확대
1989년·2019년·2049년 인구구조 변화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989년·2019년·2049년 인구구조 변화
국내 인구는 2019년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섰다. 인구가 소비력을 키워 잠재성장률까지 끌어올리는 ‘인구의 힘’에 대한 기대가 줄고 있다. 삼각형 모양 인구피라미드를 그렸던 한 세대(30년) 전 한국은 ‘3저 호황’을 누렸다. 30년 후 역삼각형 인구피라미드 시대엔 어떤 일이 일어날까.
2023-03-0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