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에도 바코드… 가공수출 비중 늘려 국내 원목시장 비상
뉴질랜드 타우랑가 항구에는 규격에 맞춰 잘라진 원목들이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쌓여 있다. 마치 ‘나무로 만든 성’을 연상케 한다. 타우랑가 항구는 뉴질랜드 최대 원목 수출항으로 목재를 실은 트럭의 행렬이 끊이질 않는다. 북섬에 산재한 목재생산 경영림(산판)과 철도로 연결돼 각 지역에서 운송된 나무들을 기차에서 내려 배에 선적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원목 수출선인 ‘울트라 트레디션호’에서 바라본 뉴질랜드 최대 원목 수출항인 타우랑가 항구. 세계 각지로 수출되는 뉴질랜드산 원목들이 끝이 보이지 않는 ‘나무성’을 이루고 있다.
항구와 인근 바다에는 뉴질랜드산 원목을 세계 각지로 실어나르기 위한 배들이 선적을 기다리며 정박하고 있다. 목재 수출국의 면모가 느껴진다. 축구장 크기만 한 파나마 국적의 원목 운반선인 ‘울트라 트레디션호’(5만 6000t급)에 올랐다. 뉴질랜드의 대형 목재수출업체인 PFP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원목을 옮길 수송선이다. 배 한 척에 실리는 목재가 자그마치 13만개에 달한다. 기스본에서 30%를 선적한 가운데 타우랑가 항구에서 원목을 싣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선적이 마무리되는 데 꼬박 6~7일이 소요될 예정이다. 대형 크레인으로 옮겨진 원목을 배 안에서 차곡차곡 쌓는 지게차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모든 작업은 기계화로 진행돼 엄청난 크기의 중장비만 움직일 뿐 작업자들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PFP의 피터 클래이턴 매니저는 “현재 세계 목재시장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서 “한국이 안정적 목재 수급 기반을 마련하려면 국내뿐 아니라 해외 조림지를 확보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목재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목재의 이용, 가공 등 현장을 아는 전문가 양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원목을 수입하는 뉴질랜드가 최근 자국의 목재산업 발전과 목재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가공 수출을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지면서 비상이 걸렸다. 국내 수입 원목(375만 7000㎥) 중 68.4%(256만 9000㎥)이 뉴질랜드에서 수입된다. 목재 수입국에서는 원목을 들여와 용도에 맞춰 제재해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뉴질랜드가 원목 수출을 줄일 경우 우리나라의 비용 부담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뉴질랜드의 경우 목재 수출에서 원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58%에 달한다. 이어 제재목(17%), 목재펄프(12%), 종이와 판지 및 판자제품(각각 6%) 등의 순이다. 그러나 수출금액을 보면 원목 비중이 32%에 불과하다. 오히려 종이와 판지가 19%로 급상승하고 제재목(16%), 목재펄프(12%), 기타(10%) 순으로 역전된다. 원목을 수출하는 것보다 가공해 시장에 내놓는 것이 경제적으로 더 큰 이득을 가져다 준다.
뉴질랜드 국립산림연구소의 존 무어 박사는 “과거 뉴질랜드 임산업은 원목 수출에 집중됐지만 최근 바이오소재 개발과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바이오 연료 개발 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목재 산업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 산업과 연계시키는 데 예산과 인력 투입을 확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글 사진 타우랑가(뉴질랜드)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4-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