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20일로 수교 21년을 맞는 한국과 러시아. 양국 관계의 평가와 전망을 현지에서 두 지한파 오피니언 리더를 통해 들어 봤다.
안드레이 카진 상원의원은 “수교 뒤 한·러 관계는 변혁기 러시아 사정 등으로 기대보다 잘 발전하지 못했지만 다시 도약의 계기를 맞고 있다.”면서 “함께 통일 한국 시대를 준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러 우정펀드 회장도 맡고 있는 카진 의원은 지난달 18일 모스크바에서 “양적 교류에서 한·러 관계가 한·중 관계보다 뒤처져 있지만 두 나라 사람들의 감정상 유사성 등으로 개인 유대는 더 끈끈하다.”며 발전 가능성을 낙관했다. 그러면서 경협 등 교류 확대를 통해 공통 고리를 더 많이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도 북한 같은 상황을 겪은 경험이 있어 더 가슴 아프다.”면서 “러시아는 북한의 바람직한 선택을 위해 옆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송유관의 북한 경유를 통해 시베리아 천연가스를 한국으로 수송하는 프로젝트 실현을 위해 러시아는 최근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국영 석유회사 가즈프롬 전문가 20여명이 최근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것도 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카진 의원은 “남북한과 러시아가 참여하는 3자 간 경협 활성화가 동북아 번영의 좋은 방안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후돌레이 상트페테르부르크大 부총장 “러 극동개발에 한국 중요”
이미지 확대
콘스탄틴 후돌레이 상트페테르부르크大 부총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콘스탄틴 후돌레이 상트페테르부르크大 부총장
한·러대화포럼 조정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대 콘스탄틴 후돌레이 부총장은 “한·러 관계가 활발하게 발전했다고 할 수 없다.”고 평가하면서 “극동개발, 시베리아횡단 철도의 한국 통과 실현 등 공동 프로젝트를 더 많이 진행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후돌레이 부총장은 지난달 28일 “총리와 대통령 등 러시아 최고지도자의 양국관계 발전 입장은 확고하며 민간 교류를 더 활성화시켜 나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극동개발에 무게가 실리면서 한반도의 중요성도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수교 20주년을 기념해 지난해 출범한 한·러대화포럼에 대해 “내년 정권이 바뀌고 난 뒤 한국에서 관심을 잃을까 걱정스럽다.”면서 “10년 이상 진행되면서 양국 관계 발전에 추진력 역할을 하는 러·독포럼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평도 포격사건 등 북한의 질서 훼손 행위에 대해선 한국이 엄격하게 대해야겠지만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한 대응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6자회담 무용론 편에 서 있는 후돌레이 부총장은 북한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국가들의 사전 조율 등 공조 강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어 “러시아는 남북한이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는 더 나은 분위기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1-08-2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